
안성시와 안성시의회가 최근 의회 인사권 독립 보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사교류실무협의체 구성을 완료했다고 14일 밝혔다.
이에 따라 의회 인사권 독립 문제를 두고 안성시와 의회 간 첨예한 대립이 실무적으로 해소돼 같은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는 전국의 지자체들에게 선례가 됐다는 평가다.
시와 의회는 최근 의회사무과에서 부시장을 비롯한 집행부 관계자와 의회사무과장과 의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1월 체결한 '안성시-안성시의회 인사운영 등에 관한 업무협약'을 근거로 인사교류실무협의체 구성 및 운영 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이 결과 인사교류실무협의체를 부시장과 행정안전국장, 행정과장 등 3명의 시 관계자와 운영위원장, 대표 시의원, 의회사무과장 등 3명의 의회 관계자를 포함해 총 6명으로 구성키로 했다. 또 인사교류실무협의체는 향후 의회에 인사 요인이 발생하면 시는 한 달 전에 이를 의회에 알리고, 인사교류실무협의체 회의를 통해 인사를 확정 짓기로 하는 운영 방안에 대해서도 합의했다.
부시장·대표 시의원 등 6명으로 구성
의회로의 전출입 상호 협의해 발령
교류 일자 1개우러 전에 협의 시작
전국 지자체들에 선례 됐다는 평가
구체적인 운영 방안을 살펴보면 의회로의 전출입은 상호 협의해 발령하고 교류 일자 1개월 전에 협의를 시작해야 한다. 파견의 경우는 시장의 추천자 중 상호 협의해 발령하고 협의 시기는 파견 종료 1개월 전에 진행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인사교류실무협의체 구성은 시가 의회의 인사권 독립 보장을 좀 더 구체화시키기 위한 조치로 향후 의회 인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시와 의회 간의 갈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며 "기존에도 그랬지만 앞으로도 시는 의회의 인사권 독립을 보장하기 위한 행정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의회 관계자도 "의회 인사권 독립 문제로 수개월 간 집행부와 갈등을 빚었지만 '비 온 뒤에 땅이 굳는다'는 격언과 같이 전국 지자체가 같은 사안으로 집행부와 마찰을 빚고 있는 문제를 인사교류실무협의체로 해결할 수 있다는 선례가 될 수 있도록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