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I_0513 (2)
사업비 분담 문제 등으로 수년 간 공사가 지연되고 있는 청라시티타워 건립 공사 현장. /경인일보DB

인천경제자유구역의 랜드마크로 추진되다가 장기간 지연되고 있는 청라시티타워 건설 공사와 송도국제도시의 초고층 빌딩 건립 사업 등이 전환점을 맞고 있다.

청라 호수공원 초고층 타워 건립
LH, 사업비 확정… 증액비 변수
경제청, 관계회사 간 적극 중재


청라시티타워는 지난 6일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경영심의 이후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적극 나서 중재 절차에 돌입했다. 사업 협약을 앞두고 시장이 바뀌면서 중단된 송도 6·8공구 중심부 개발 사업(초고층 빌딩 포함)도 김진용 인천경제청장 취임 이후 사업자와의 협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인천경제청은 연내 이들 사업에 대한 가시적인 성과를 낸다는 계획이다.

우선 청라시티타워 건설 공사가 연내 재개될 가능성이 크다. 

 

청라시티타워 사업은 청라국제도시 호수공원 중심부 3만3천㎡ 부지에 지하 2층~지상 30층(높이 448m) 규모의 초고층 타워와 판매시설 등을 건립하는 프로젝트다.

청라시티타워는 2007년 청라국제도시에 입주한 주민들이 낸 분양대금 3천32억원으로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시작한 사업이다. 이후 4번이나 사업자 선정에 실패했고, 2016년 민간사업자로 청라시티타워(주)가 선정돼 2019년 착공했다. 청라시티타워(주)는 사업 지연에 따른 공사비 증액 문제로 시공사 선정에 어려움을 겪다가 2021년 재입찰을 거쳐 우선협상대상자로 포스코건설을 선정했다.

LH는 지난 6일 경영심의를 열어 5천600억원 규모의 청라시티타워 사업비를 확정했다. 이는 지난해 LH와 청라시티타워(주)가 합의한 4천400억원보다 1천200억원 증가한 액수다. LH는 심의 결과에 따라 청라시티타워(주)와 시공사인 포스코건설이 GMP(최대보증금액) 계약을 맺고 10~11월 착공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문제는 증액비 분담이다. LH는 시티타워를 우선 착공한 후 증액 부분에 대한 분담 비율 등을 협의한다는 계획이지만, 청라시티타워(주) 측은 착공 전에 이런 문제를 매듭짓자는 입장이다.

인천경제청은 LH, 청라시티타워(주), 포스코건설 등 관계 회사들간 적극적인 중재를 진행해 연내 공사가 재개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지난 7일 취임한 김진용 청장은 가장 먼저 청라시티타워 현장을 찾았으며, 직접 나서 중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그간 청라시티타워 건설 문제에 한발 물러서 있던 인천경제청의 개입으로, 공사 재개가 한층 빨라질 전망이다.

송도 6·8공구에 103층 건물 조성
경제청장 "기존 행정절차 등 존중
건물 층수 상향 사업자와 협의"


이와 함께 송도 6·8공구 개발사업을 위한 사업자와의 협약도 연내 가시화 할 것으로 보인다.

송도 6·8공구 중심부 개발사업은 우선협상대상자인 블루코어 컨소시엄이 6·8공구 인공호수 주변 128만㎡에 103층 높이의 초고층 건물을 중심으로 도심형 테마파크, 18홀 대중골프장, 주거·사업·전시시설 등을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인천시 투자유치기획위원회는 지난 3월 이 사업을 조건부 가결했으며, 인천경제청과 컨소시엄은 위원회에서 요구한 11개 조건 사항을 보완해 협약 체결을 앞둔 상태다.

지난 6·1 지방선거에서 유정복 인천시장이 당선된 뒤 인천시장직 인수위원회는 송도 6·8공구 사업자 협약 체결 등을 포함한 주요 정책 결정을 시장 취임 이후 미룰 것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현재 6·8공구 개발사업과 관련한 모든 협의 절차는 중단된 상황이다.

김진용 청장은 송도국제도시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사업 협약을 앞두고 교착 상태에 빠진 6·8공구 중심부 개발사업을 꼽았다. 그는 취임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현재까지 행정 절차와 사업자와의 협의 내용을 존중하면서 마무리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사업의 핵심 쟁점인 초고층 빌딩 건립 문제와 관련해서는 지난 13일 인천시의회 산업위원회에 출석해 "건물 층수(현재 103층 계획)를 더 올리는 것은 경제적 측면에서 여러 이견이 있다"며 "사업자 측과 협의 과정에서 현실적인 답을 이끌어내겠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인천경제청은 이달 말부터 6·8공구 개발 사업자 측과 협약을 위한 집중 협의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송도·청라국제도시의 핵심 현안인 이들 사업이 연내 정상 궤도에 오를 수 있도록 총력을 쏟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

2022091501000483500021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