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청 맞은편에 송정동 연립단지
광주시에 빌라·다세대주택이 난립하면서 도시기반시설 부족 등의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사진은 광주시청 맞은 편의 송정동 연립단지 구역. 2022.9.19 광주/이종우기자 ljw@kyeongin.com

광주시 오포읍 오포터널을 지나면 빌라 밀집지역이 눈에 들어온다. 능평교차로를 지나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으로 넘어가는 도로에 인접한 부지 곳곳에는 어김없이 다세대·연립주택이 들어서 있다. 광주시청 주변도 마찬가지. 광주 오포읍 신현리·목현동 등 광주 전역에 10~30여 개 동씩 80~200가구가 거주하는 대규모 빌라단지가 조성돼 있다.

빌라촌 주변의 생활편의 시설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대중교통 접근성도 떨어지는 곳이 많다. 주차난은 기본이며 도로변에 주차된 차량 때문에 통행이 어려운 골목도 많다.

 

年 인구증가율 3.9% 성장 불구
99% 자연보전권역… 개발 난항
주차난·통행 불편 갈수록 '심각'
市 "2040년 목표 기본계획 수립"

광주지역에 빌라가 난립하는 이유는 경기도에서 중복규제가 가장 많은 지역이 광주시이기 때문이다. 시 전체가 자연보전권역이다. 99.3%는 팔당특별대책1권역, 24.2%는 개발제한구역, 19.4%는 상수원보호구역이다. 특히 시 전체 면적의 70%는 산지로 돼 있다.

자연보전권역과 팔당특별대책1권역은 일정 규모 이상의 개발이 제한된다. 이런 중첩규제는 도시계획을 제대로 할 수 없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 됐다. 그 결과 광주지역은 '빌라 천국', '교통지옥'이라는 오명을 쓰게 됐다.

광주시 전체 15만6천217가구 중 40.2%인 6만2천729가구가 연립·다세대이며 도시화 지역은 54.4%로 절반 이상이 농촌지역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2022년 광주시 인구는 40만명을 돌파, 연평균 인구증가율은 3.9%로 점차 도시가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첩규제로 인한 계획적인 도시개발에 발이 묶이면서 발생되는 난개발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자연 경관이 파괴되고 도시기반시설의 부족으로 주민의 생활은 열악해지고, 고비용 저효율의 구조는 도시 경쟁력을 악화시키고 있다. 특히 도시기반 시설은 수천억원을 들여도 해결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대해 시의 고민은 크다. 시 관계자는 "2040년을 목표로 광주시 도시기본계획과 도시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며 "토지를 계획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3개의 큰 생활권별로 구분해 도시를 관리하고, 비도시지역의 도시지역 확장을 통해 대규모 택지용지 확보, 인구계획, 토지개발 물량 총량을 통해 관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특히 경강선의 상동역·광주역·초월역·곤지암역 등 역세권 중심으로 도시공간 구조를 설정해 압축적인 도시개발과 경안천 수변지역 중심으로 친수적인 도심주거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도시기본·관리계획 등을 통해 교통, 생활, 주거안정이 될 수 있는 계획적인 도시공간이 확보되면 소규모 연립이나 다세대 주택 건립은 자연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광주/이종우기자 ljw@kyeongin.com

2022091501000485200021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