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소중립' 글로벌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평택이 대한민국 수소 생산의 중요 거점지로 부상할 전망이다. 평택 수소생산기지가 지난 8월부터 가동을 시작하면서 이 같은 기대가 지역뿐 아니라 관련산업계 전체에 번지고 있다.
평택시 포승읍 LNG기지 옆에 마련된 수소생산기지에서는 하루 최대 7t까지 수소를 공급한다.
향후 수소 수요가 확대될 것을 감안해 중·대 규모 수소생산기지로 조성, 생산된 수소 일부는 배관을 통해 평택항이나 인근 도시로 공급된다.
이를 통해 항만 물류에 필요한 모든 에너지가 수소로 대체되며, 산업·상업·주거·교통 등에 필요한 에너지원도 수소로 활용될 전망이어서 눈길을 모으고 있다.
포승읍에 최대 7t 생산… 지난달 가동
산업·주거·교통 등 에너지 활용 전망
평택 수소생산기지의 수소는 액화 과정을 거쳐 수도권 일대로 유통된다. 기체의 수소를 액체 형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영하 253도의 초저온 냉열이 필요하다. 포승읍 LNG기지에서 LNG 기화 후 버려졌던 냉열을 활용해 효율적으로 액화 수소를 마련한다.
이와 관련 지금까지 수도권의 수소충전소는 충남 서산 등 먼 곳에서 수소를 공급받아 왔지만, 이제는 평택에서 수소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됐다.
또한 국내 자체 기술로 최대 규모의 블루 수소 생산 기술력을 갖추고 있고, 그린 수소를 수입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에 입주하고 있어 국내 산업계에 친환경 수소를 원활하게 공급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평택 수소생산기지는 수소에너지와 관련 '위험하다'는 오해를 씻기 위해 다양한 각도에서 안전 검사를 실시, 24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는 등 안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