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 예산 지원이 팀 운영에 절대적이다
구단이 자생해야 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시민구단은 지자체의 예산 지원이 운영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데, 그 절차가 기업구단에 비해 복잡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재정 확보가 어렵다. 지자체 의회를 통과해야만 예산 규모가 결정되기 때문에 이 문턱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난항을 겪을 수밖에 없다.
지자체의 지원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구조라면 지자체 예산 의존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시민구단 운영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결국 시민구단의 자생력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 축구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의존도 낮추고 자생력 높여야 조언
자생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성과를 내는 데 집중하기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시민들에게 구단의 존재를 알리고 팬들을 확보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전 인천남동구민축구단 사무국 관계자는 "시민축구단을 운영했을 때 자생력 확보가 상당히 어려운 부분들이 많았다"며 "남동축구단을 알리는 마케팅과 관련한 일을 하고 싶어도 지원되는 금액들이 전부 목적 사업비로 들어와 다른 사업에 쉽게 쓸 수 없었다"고 한계를 지적했다.
자생력을 높이려는 시도를 이어가는 시민구단도 있다. 2015년 설립한 부천FC사회적협동조합의 경우, 3천여 명에 달하는 조합원을 가졌다. 정부로부터 지정기부금 단체로 지정돼 기업으로부터 기부금을 받고 있고, 조합원이 낸 조합비로 운영비를 보태고 있다. 지난 2020년 기준 개인 후원액은 7천600여만원으로 축구단 운영비로는 부족하지만 후원 문화를 만들어가면서 시민구단의 뿌리를 튼튼히 하는 역할을 한다는 평가다.
자부심 심어줄땐 응원·기업 후원도
후원비 지원뿐 아니라 조합에서 사회 공헌 활동도 별도로 진행해 축구단을 지역 사회에 알리는 일도 한다.
부천FC1995 관계자는 "조합에서 사회 공헌 활동을 할 때 축구단과 같이 협업해 진행하고 있다"며 "이런 활동을 통해 구단을 널리 알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합에서 자체적으로 공모 사업에도 지원할 수 있어 구단 전체적으로 보면 추가로 할 수 있는 사업들이 조금씩 더 생기는 셈"이라고 조합 운영의 장점을 설명했다.
정문현 충남대 스포츠과학과 교수는 "장기적 관점에서 시민구단의 성패는 시민들의 공감대를 얻느냐에 달려있다"며 "그 지역을 대표해서 성과를 내 시민들의 자부심을 심어주는 것을 넘어 구단이 역량을 집중해 지역의 관광 상품 등의 창구로 활용할 수 있어야 지역민들이 응원하고, 지역 기업들의 자발적인 후원도 이끌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형욱·조수현기자 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