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인시 수지구 동천·고기동 일대 주민들이 25일 답보 상태에 놓인 고기근린공원 조성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촉구하고 나섰다.
수지고기근린공원시민추진위원회와 고기동마을네트워크 등 시민단체 회원 20여 명은 이날 용인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2년 전 공원일몰제로 실효 위기에 처한 고기공원 부지에 민간특례사업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진 이후 주민 반대로 개발사업을 막아냈고, 당시 시는 고기공원을 비롯한 장기 미집행 공원 12곳의 조성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며 "수지구는 처인·기흥구에 비해 인구밀집도는 높지만 1인당 공원면적은 턱없이 부족하다. 시민들이 지켜낸 고기공원이 조성될 수 있도록 약속을 꼭 지켜달라"고 호소했다.
수지고기근린공원시민추진위원회와 고기동마을네트워크 등 시민단체 회원 20여 명은 이날 용인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2년 전 공원일몰제로 실효 위기에 처한 고기공원 부지에 민간특례사업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진 이후 주민 반대로 개발사업을 막아냈고, 당시 시는 고기공원을 비롯한 장기 미집행 공원 12곳의 조성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며 "수지구는 처인·기흥구에 비해 인구밀집도는 높지만 1인당 공원면적은 턱없이 부족하다. 시민들이 지켜낸 고기공원이 조성될 수 있도록 약속을 꼭 지켜달라"고 호소했다.
답보 상태 놓인 공원 조성 사업 조속 추진 촉구
주민 2천257명 서명받아 탄원서 용인시에 제출
이들은 앞서 지난 19일 주민 2천257명의 서명을 받아 이 같은 내용의 탄원서를 시에 제출했다.
이날 열린 용인시의회 제267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도 더불어민주당 이교우(신봉·동천·성복동)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고기근린공원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이미 고시가 공고되고 토지 보상이 30% 이뤄졌으며 10여 년 전부터 진행 중인 사업에 대해 전면 뒤집기 식의 정책 추진이나 번복은 주민들에게 불신과 혼란, 더 나아가 피해를 가중시키는 일"이라며 "일관되고 현명한 정책 추진을 바탕으로 더 이상의 난개발 여지를 없애고 애초에 계획된 대로 주민들에게 필요한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고기근린공원 조성 사업은 고기동 낙생저수지 일원 33만여㎡ 중 수면을 제외한 15만2천㎡ 부지를 공원으로 조성하는 사업으로, 지가 상승 등의 이유로 토지보상 과정에서 제동이 걸려 현재까지 답보 상태에 빠져 있다.
주민 2천257명 서명받아 탄원서 용인시에 제출
이들은 앞서 지난 19일 주민 2천257명의 서명을 받아 이 같은 내용의 탄원서를 시에 제출했다.
이날 열린 용인시의회 제267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도 더불어민주당 이교우(신봉·동천·성복동)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고기근린공원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이미 고시가 공고되고 토지 보상이 30% 이뤄졌으며 10여 년 전부터 진행 중인 사업에 대해 전면 뒤집기 식의 정책 추진이나 번복은 주민들에게 불신과 혼란, 더 나아가 피해를 가중시키는 일"이라며 "일관되고 현명한 정책 추진을 바탕으로 더 이상의 난개발 여지를 없애고 애초에 계획된 대로 주민들에게 필요한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고기근린공원 조성 사업은 고기동 낙생저수지 일원 33만여㎡ 중 수면을 제외한 15만2천㎡ 부지를 공원으로 조성하는 사업으로, 지가 상승 등의 이유로 토지보상 과정에서 제동이 걸려 현재까지 답보 상태에 빠져 있다.
용인/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