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02601000891500043041.jpg
용인 석성산 봉수 유적. /용인시 제공

용인의 석성산 봉수 유적이 서리고려백자요지, 보정동 고분군, 심곡서원에 이어 용인시 관내 네 번째 국가 사적에 지정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용인시는 최근 열린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지정 예비 심의에서 석성산 봉수 유적이 심의를 통과했다고 26일 밝혔다.

봉수는 과거 연기와 불로 변방의 급한 소식을 한양에 알렸던 군사·통신 시설로, 조선 초기 세종 때부터 450년간 활용됐다. 용인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에 위치한 석성산 봉수 유적은 1423년(세종 5년)에 설치된 5개의 봉수 노선 중 부산 다대포에서 지금의 남산인 한양 목멱산까지 연결되는 '제2로 직봉 노선' 중 42번째 봉수다.

문화재청 예비 심의 통과… 1423년에 설치
과거 교통·통신 요충지 입증 큰 의미 지녀


용인 처인구 원삼면에 위치한 건지산 봉수의 신호를 받아 성남의 천림산 봉수까지 연결하는 주요 봉수로에 위치해 있어 역사적·지정학적 가치가 높다는 평가를 받아 왔으며, 앞서 지난 2020년 경기도기념물 제227호로 지정된 바 있다.

석성산 봉수 유적은 용인이 과거 교통·통신의 요충지라는 점을 입증하는 유적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특히 지난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이뤄진 발굴조사에서 조선시대 봉수의 운영과 관리 체계, 봉수군의 생활상 등을 알 수 있는 흔적들이 발견됐고 18세기에 축조된 수원화성의 봉돈과도 연결돼 있다는 점이 밝혀져 수원화성 축성 이후의 봉수 체계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석성산 봉수 유적은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거친 뒤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확정 심의를 통해 최종 국가 사적으로 지정될 예정이다.

이상일 시장은 "석성산 봉수 유적이 최종 심의를 통과하게 되면 용인은 총 4건의 국가 사적을 보유하게 된다. 추후 원삼의 건지산 봉수도 국가 사적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용인/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