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명의 국회의원을 두고 있는 안산시가 인구 감소 여파로 선거구에 변화가 있을지에 대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선거구 조정 가능성이 있었던 지난 21대 국회의원 선거(이하 총선) 때보다 인구가 더 줄었기 때문이다.

26일 안산시 등에 따르면 시의 인구는 지난달 기준 64만5천952명이다.

선거구를 1개 줄인다고 소문이 무성했지만 4곳을 유지한 21대 총선 선거구 획정(2020년 3월) 당시 65만2천763명보다도 6천811명 감소했다.

특히 바로 인접한 화성시가 지난달 인구 90만명을 넘어서면서 지역 분구가 유력해 안산시의 합구에 힘이 더욱 실리는 분위기다.

2년전보다 6811명↓·64만5952명
화성 등 유입 늘어… 합구 가능성
현재 4명… "유지가 쉽지 않을 것"

최근 안산 지역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화성시를 비롯해 평택시, 하남시, 시흥시, 김포시, 남양주시 등이 급격한 인구 증가로 분구가 예측돼 안산시의 합구 가능성에 대해 의견을 내놓고 있다.

다만 부천시와 광명시, 성남시, 안양시, 광명시가 안산시보다 인구 감소 폭이 큰 데다가 상록구(34만7천348명)와 단원구(29만8천604명)의 인구수가 21대 총선 당시 설정한 인구 기준 하한선 13만9천명을 넘어 타 시·군의 선거구 변화에 따라 선거구가 결정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사실 안산의 인구 감소는 선거구 조정뿐 아니라 도시 발전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도시의 가치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이 인구수이기 때문이다. 이에 민선 8기 이민근 시장도 인구 유입을 위해 청년 정책을 1순위로 내세우고 있다.

안산 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선거구 획정은 인구 외에도 행정구역 및 지리, 교통 등이 종합적으로 적용된다"면서 "하지만 그중 인구가 가장 중요하고 지난 총선에서도 안산의 선거구 감소 얘기가 무성했던 만큼 이번에도 유지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산/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