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4월께 개통하는 경원선 복선전철 '동두천~연천' 구간(20.9㎞)은 약이 될까, 아니면 독이 될까.
경원선 전철 연장은 그동안 인구 고령화와 교통 불편에 시달려온 연천군민들의 염원이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교통 편의로 인한 급격한 인구 감소 등에 대한 우려도 뒤섞여 있다.
이에 연천군은 은통일반산업단지를 조성, 생산기반시설 확립 및 다양한 인구 유입 정책을 통해 인구 감소 정체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군은 급진적인 인구 증가는 불가능하더라도 현재 4만3천여명의 인구 유지, 그리고 더 나아가 점진적인 인구 증가를 통해 생산적인 도농복합도시로 발전시키는 것이 주요 목표다.
전철 개통에 따른 주요 환경변화는 도시화와 어울린 특화된 지역상권을 구축해 침체된 지역경제를 되살리는 것이다.
郡, 관광 특화상권 조성 경쟁력 판단
창업희망 청년 인큐베이팅 공간 계획
군은 연천역이 경원선의 종착역으로서 '연천관광 특화상권'을 조성하는데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역세권 개발을 추진 중인 군은 연천역과 전곡역 인근 점포들의 환경 개선을 통해 연천형 청년몰인 '연천큐브'를 조성해 파주와 포천, 동두천 등 인접 지자체의 창업희망 청년들을 불러모아 요식업 창업 인큐베이팅 공간으로 창출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전철역 주변 개발을 서두르고 있는 군은 내년 말까지 329억원을 투입해 주차장과 광장, 환승 등에 필요한 기반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연천역은 광장(7천700㎡), 주차장(2천60㎡)이 조성되고 전곡역은 광장(1천948㎡), 주차장(2천120㎡), 초성리역은 주차장(1천360㎡)을 조성하는 등 다양한 편의 시설을 구축할 방침이다.
329억원 투입 주차장·광장 등 확충
"연천~전곡역 연결 프로젝트 구상"
이와 함께 군은 역 주변의 난개발 방지를 위해 5억원을 들여 내년 말까지 도시개발사업 타당성 조사 및 기초 조사, 주민설명회 등을 실시하고 전철 개통에 맞춰 교통 수요에 현실적 대응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군은 전철 개통에 따른 소비자들의 대도시 진입으로 지역경제 역전 및 인구 감소 등의 폐해를 예방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군은 연천역과 전곡역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대형 프로젝트도 구상 중이라며 주민들의 관심을 당부하고 있다.
김덕현 군수는 "경원선 열차는 그동안 증기기관차에서 디젤기관차, 전철,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C 등으로 변했고 앞으로도 발전할 것"이라며 "연천은 이제 수도권 주민들에게 일상적인 관광지로 다가가게 됐다"고 밝혔다.
연천/오연근기자 oyk@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