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태원 참사에서 희생된 분들을 추모하고, 유가족들과 아픔을 함께 하겠습니다."
평택시가 이태원 압사 참사와 관련, 사고 후 일주일을 애도 기간으로 정해 이 기간에 축제성 행사 모두를 취소하고 합동분향소를 설치하는 등 추모에 적극 동참하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지난 29일 밤 핼러윈을 앞둔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해밀턴호텔 일대에 인파가 몰리면서 150명 이상이 숨지고 다수가 부상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정부에서는 용산구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서울광장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했다.
이에 평택시는 30일 긴급대책회의를 열어 10월 30일 ~ 11월 5일을 애도 기간으로 정해 추모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평택역 광장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키로 했다.
또한 조기를 게양하고, 추모의 메시지를 담은 현수막을 청사에 게시하기로 했다. 애도 기간 중 열릴 예정이었던 음식문화축제(11월5일) 등 평택시가 주최·주관하는 축제성 행사를 전면 취소키로 했다.
정장선 시장은 "불의에 사고로 안타깝게 희생되신 분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 분들에게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평택시민들도 동참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평택시가 이태원 압사 참사와 관련, 사고 후 일주일을 애도 기간으로 정해 이 기간에 축제성 행사 모두를 취소하고 합동분향소를 설치하는 등 추모에 적극 동참하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지난 29일 밤 핼러윈을 앞둔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해밀턴호텔 일대에 인파가 몰리면서 150명 이상이 숨지고 다수가 부상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정부에서는 용산구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서울광장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했다.
이에 평택시는 30일 긴급대책회의를 열어 10월 30일 ~ 11월 5일을 애도 기간으로 정해 추모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평택역 광장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키로 했다.
또한 조기를 게양하고, 추모의 메시지를 담은 현수막을 청사에 게시하기로 했다. 애도 기간 중 열릴 예정이었던 음식문화축제(11월5일) 등 평택시가 주최·주관하는 축제성 행사를 전면 취소키로 했다.
정장선 시장은 "불의에 사고로 안타깝게 희생되신 분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 분들에게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평택시민들도 동참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