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심각한 외국인 노동자 인력난 해소를 위해 해외 현지 방문 등을 통한 유치 활동에 직접 나서면서 안산시도 외국인 노동 인력 수급을 위한 발로 뛰는 행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외국인 쿼터 확대 및 신속한 입국 지원 등 지난 8월 정부의 정책에도 제조업 등 기업체를 비롯한 농촌의 외국인 노동자 인력 수급 문제가 좀처럼 해결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3일 전국 지자체 등에 따르면 보은군과 괴산군, 영동군 등 충북의 군수들은 자매도시와의 협약을 통한 외국인 노동자 유치를 위해 지난달 앞다퉈 해외로 떠났다.
이를 통해 괴산군은 내년 3월부터 현지 노동자 280명이 순차적으로 입국할 예정이고 보은군과 영동군은 규모와 시기를 협의 중이다. 아울러 이들은 상호발전을 위한 경제 협력도 모색한 것으로 전해진다.
타 지자체들 협약 등 수급 모색
市, 2020~2021년 20% 가까이 ↓
"市에서 나서주길" 현장서 호소
앞서 지난 6월 진천군도 필리핀의 도시와 외국인 계절 근로자 도입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했고 올 9월에는 캄보디아 노동직업훈련부와도 협약을 맺었다. 완주군은 베트남의 도시와, 안동시는 라오스의 도시와 노동자 유치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에 반해 안산시는 반월 시화공단과 대부도 포도농장 등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인력난이 심각하지만 별도의 움직임이 없다. 정부의 정책만 바라보는 것이 아닌 직접 유치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현장에서 나오고 있다.
안산시는 전국 시·군에서 외국인 수가 가장 많지만 최근 자료인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를 보면 외국인 노동자 수는 2020년 11월 2만1천533명에서 2021년 11월 1만7천344명으로 20%(4천189명) 가까이 감소했다. 특히 산단이 위치한 단원구에서 3천480명이 줄어든 것을 고려하면 공장들의 인력난이 심각한 상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반월공단의 한 공장주는 "내국인들은 힘들다고 오지도 않고 그나마 외국인으로 버텼는데 이들조차 없으니 공장이 멈출 지경"이라며 "정부는 이런저런 정책을 내놓았다고 하는데 나아지기는커녕 체감조차 할 수 없다. 시에서라도 적극적으로 나서 주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인력난 부족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만큼 시도 여러 방면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산/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