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1301000506700021831.jpg
지난해 6월 2일 오후 더불어민주당 김주영(김포갑)·박상혁(김포을) 국회의원이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D 노선의 국가철도망 계획 반영을 요구하며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 앞에서 삭발을 하고 있는 모습. 2021.6.2 /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더불어민주당 김포갑·을지역위원회가 최근 국민의힘 측이 자신들에게 "5호선 관련 시민 고통을 외면한 데 대해 자성하라"고 날을 세운 것을 불필요한 정쟁으로 규정하며 유감을 표했다.(11월11일자 인터넷판 보도=국힘 김포당협 "민주당, 5호선 허송세월 반성해야" 비판성명)

김포지역위는 또한 이번 5호선 합의와 콤팩트시티 등의 성과가 민주당과 시민들이 만들어 낸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국민의힘 측은 이를 강하게 반박했다.
5호선 추가검토반영·지자체 사전협의 노력에
2035도시기본계획 때 '스마트자족도시' 계획
김포지역위는 지난 12일 "많은 김포시민이 기뻐하고 있는 와중에 5호선 연장 사업의 공과에 대한 정치적 논쟁은 매우 유감"이라고 공동성명을 냈다.

이들은 "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처음에 배제돼 있던 5호선 연장을 추가사업으로 반영한 것도, 즉각 사전타당성 조사에 착수한 것도, 타 지자체와 4차례 사전 협의를 통해 협약 성사의 기초작업을 한 것도 민주당과 시민들이 함께 만들어 낸 것"이라며 "오늘의 성과는 하루아침에 이뤄진 게 아니다. 이 같은 배경이 있었기에 이번 협약이 가능했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역위는 그러면서 "이미 작년(민선7기)에 수립된 2035 김포시 도시기본계획에서 스마트 자족도시를 계획했고, 이를 통해 5호선 연장과 GTX-D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구상도 있었다"며 "국토교통부의 발표는 새로운 사업이 아니라 이미 김포 발전을 위해 시민들이 염원했던 도시기본계획 일부를 공표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제부터 우리가 해야할 일은 힘을 모아 남은 과제를 해결하고 건폐장 이전, 주택공급에 따른 광역교통망 격차 등 시민 우려를 해소하는 것이다. 김포시민 모두의 성과를 자신들의 치적으로 삼기 위한 행태는 걸림돌이 될 뿐"이라며 5호선 연장의 조속한 확정·추진에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2022111301000506700021832.jpg
(사진 왼쪽)김병수 김포시장이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에게 5호선 김포연장사업 경제적 타당성 확보를 위한 택지개발 요청서를 전달하고 있다. (사진 오른쪽)지방선거를 앞두고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 5호선 현안을 논의하는 김병수 김포시장 예비후보. /김포시·김병수 예비후보 제공
국힘 "민주당, 지역 열망 철도망 배제로 응답
우리가 살려 김포시장·서울시장·국토부 성과"
국민의힘 측은 민주당이 사실과 다른 말로 그간의 경과를 호도한다며 역공했다.

지역 국민의힘 관계자는 "5호선 김포연장 사업은 대통령·국토부장관·서울시장·경기도지사·김포시장·지역국회의원 전부 민주당일 때 철저히 외면받았던 사업"이라며 "오세훈 시장이 당선돼 가까스로 논의의 장이 마련된 후에도 민선7기 김포시는 5호선 연장의 핵심 열쇠인 '지자체 간 협의'에 나서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관계자는 또한 "사전타당성조사는 김포시가 자체적으로 최적의 노선을 찾기 위한 타당성 용역을 한 것이지 5호선 착수를 위한 게 아니었다"며 "시민 모두의 성과인 건 당연하다. 그러나 민주당은 시민들의 아픔과 열망에 5호선 국가철도망구축계획 배제로 응답했고, 국민의힘은 이를 추가검토노선으로 반영시키기 위해 문서까지 제출하며 발로 뛰어 불씨를 살렸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기초지자체가 도시기본계획을 세워놓으면 정부에서 자동으로 신도시를 만들어 주는 게 아니다. 내용도 많이 다른 도시기본계획이 콤팩트시티로 이어졌다는 건 어불성설"이라며 "신도시 발표와 5호선 지자체 합의는 김포시장과 서울시장, 국토부가 합심해 만들어낸 것"이라고 역설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