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와 경기도가 각각 경제자유구역을 추가 확대하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인접한 도시 간 경제자유구역 확대가 시너지 효과를 낼지 아니면 투자 유치 등에 경쟁만 심화시켜 악영향을 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 2003년 국내에서 가장 먼저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인천경제자유구역은 송도(53.36㎢), 영종(51.26㎢), 청라(17.80㎢) 등 3개 지구로 구분돼 있다.
인천시는 유정복 시장 취임 이후 핵심 공약인 '제물포 르네상스' 사업과 '뉴홍콩시티' 건설을 위해 경제자유구역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2025년 사용 종료를 앞둔 수도권매립지도 경제자유구역으로 추가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제물포 르네상스 사업은 인천항 내항 1·8부두를 포함한 항만부지 182만㎡의 소유권을 확보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받아 역사·문화가 어우러지는 해양관광과 레저문화 중심의 '하버시티'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인천 내항 1·8부두·강화도 고심
해양관광·레저 제물포르네상스
다국적회사 유치 등 뉴홍콩시티
경기경제청, 지자체 2곳 대상
안산, 한양대 에리카캠·경기TP
고양, 미래 성장동력 활용 목표
인천시는 최근 조직개편을 통해 시 내부에 '제물포르네상스기획단'을 설치하고 이를 총괄할 인사로 한상을 인하대 교수를 임용하는 등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선다는 계획이다.해양관광·레저 제물포르네상스
다국적회사 유치 등 뉴홍콩시티
경기경제청, 지자체 2곳 대상
안산, 한양대 에리카캠·경기TP
고양, 미래 성장동력 활용 목표
뉴홍콩시티 건설도 강화 남단 일부(18㎢)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해 홍콩에서 이탈하고 있는 다국적 회사와 금융 자본을 유치하는 사업이다. 강화도와 영종·청라국제도시를 연계해 다국적 기업과 금융기관 등을 유치하겠다는 게 인천시의 구상이다.
경기도의 경우 고양시와 안산시 등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추가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경기경제자유구역청은 최근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을 위한 개발계획 연구 용역 대상지로 고양시와 안산시 등을 선정했다. 안산의 경우 한양대학교 에리카 캠퍼스와 경기테크노파크 일원 3.73㎢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곳에는 200여개 중소·벤처기업들과 4천600여명의 연구원들이 근무하고 있어 경제자유구역 입지로 손색이 없다는 게 안산시의 설명이다.
고양시는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과밀억제권역으로 지정돼 산업시설과 기업, 대학 등 자족시설 유치에 제한을 받아왔다. 경기도에서 인구가 2번째로 많지만 이런 규제 때문에 베드타운으로 전락했다는 평가가 있다. 고양시는 경제자유구역으로 추가 지정받아 미래 성장 동력을 만들어낸다는 목표다. 경기경제자유구역은 평택 포승지구, 현덕지구, 시흥배곧지구 등 3개 지구로 나뉘어 있다.
현재 전국에 있는 9개 경제자유구역 가운데 외국인직접투자(FDI) 비중은 인천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전국 경제자유구역의 FDI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효과가 크기 않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인천과 경기도 등 수도권의 경제자유구역 확대가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도 있지만 투자 유치 분야가 상당부분 겹치는 것도 많아 서로에게 이득이 안될 수도 있다"며 "전국 경제자유구역의 발전을 위해선 더 과감한 규제 개혁과 투자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