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충우 여주시장의 핵심공약인 '여주시 복합행정타운 건립'이 본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연내 후보지 확정에 난항이 예고된다.
현 시청 주변 상인회와 주민들이 청사 이전 반대에 나섰고, 시의회 일각에서도 충분한 숙의과정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27일 여주시와 시의회, 상인회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14일 복합행정타운 건립 타당성 조사 용역 최종 보고회를 거쳐 18일 제6차 '복합행정타운 후보지 결정을 위한 공론화위원회'에서 예비후보지를 3곳으로 압축했다. 이 과정에서 현 청사 활용안은 탈락됐다.
'용역 보고회' 現 청사 활용안 탈락
시청 주변 상인회·주민들 반대 목청
이와 관련 지난 24일 여주한글시장상인회는 창동 먹자골 상인회, 강변 상인회, 세종시장 상인회, 여주시소상공인연합회, 홍문동과 하동 주민 등이 '시청 이전 반대를 위한 지역주민 대책회의'를 열고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최현숙 회장은 "오학동과 역세권 개발로 날로 힘들어지는 상황에서 시청 이전은 시청 주변 상권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라며 "시민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두고 숙의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현재 공론화 과정은 형식적인 요식행위로 보인다"고 말했다.
상인들과 주민들도 "지역균형발전과 원도심 공동화 방지, 상권 활성화를 위해 좀 더 적극적으로 현 청사부지 활용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공론화를 방패 삼아 이전에만 몰입해 급하게 추진하지 말고, 추후 발생할 수많은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제시하라"고 덧붙였다.
"상권 악영향·문제 해결안 제시를…
현재 공론화 과정은 요식행위인듯"
반대 목소리는 다음날인 지난 25일 시의회 2차 정례회 자유발언에서도 일부 이어졌다.
정병관 의장과 진선화·박시선 의원은 "타 시·군을 보면 복합행정타운 건립 시 부지선정은 2∼3년 정도가 걸리는데 여주시만큼은 신청사 부지선정을 3개월 이내에 마쳐야 한다는 계획은 졸속행정 아닌가"라며 "복합행정타운 이전에 구도심 활성화 대책 마련과 원도심 경기침체 방지 대책, 그리고 현 청사부지 활용계획 등 사전에 충분한 숙의과정을 통해 사회적 갈등과 충돌을 방지해 일말의 오해나 논란이 없는 성공적인 사례로 남을 수 있도록 조치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정연설에 나선 이 시장은 "시청사 건립 후보지 선정을 위해 타당성 조사 용역을 진행하는 동시에 시민의 의견을 듣고자 공론화 조례를 제정하고 공론화위원회를 구성 운영하고 있다. 현재 시민대표단을 모집 중이며, 시민대표단을 중심으로 숙의과정을 통해 올해 내 신청사 부지 확정이라는 시민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여주/양동민기자 coa007@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