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fs.jpg
사진은 안산 초지동 시민시장. /경인일보DB
 

안산시에 이어 지역구 국회의원 및 도·시의원까지 초지동 시민시장 부지 개발을 놓고 주민들과 머리를 맞댔지만 아파트 단지 주민과 상인 간 주장이 평행선(11월14일자 8면 보도=안산 초지동 시민시장 부지 활용 '시각차')을 달리면서 '민민갈등'이 더욱 깊어지는 모양새다. 이에 문제를 해결해야 할 시와 지역 의원들도 골머리를 앓을 전망이다.

13일 더불어민주당 안산단원을 지역위원회 등에 따르면 김남국 국회의원은 지난 10일 지역사무소에서 김철진 경기도의원, 선현우·최진호 안산시의원, 시 공무원, 지역 주민 등과 함께 초지동 시민시장 부지 활용에 대한 주민 참여 토론회를 열었다. 시가 주최한 지난달 두 번의 토론회에 이은 세 번째 만남이다.

결과부터 말하면 의견 봉합은 안갯속이다. 지역 의원들이 함께한 토론회에서도 주민들과 상인들은 각자의 의견을 굽히지 않았다. 


시의원·관계자등 3번째 주민토론회
市, 공공시설·주상복합 조성 저울질


시는 상인 198명이 336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는 시유지 2만3천여㎡의 초지동 시민시장에 주민편익시설을 짓는 공공시설 조성 방안과 아파트·오피스텔·상가가 입주하는 주상복합시설로의 개발을 저울질 중인데, 상인회는 생존권 등을 이유로 시장의 현대화에 완강한 입장이다.

반면 인근 아파트 단지 주민들은 5년여 동안 깨끗한 주거환경 조성을 주장하며 민원을 제기했던 만큼 미래 학습권을 위한 학교 설립을 외치고 있다.

심지어 일부 주민들은 시가 발주한 초지동 시민시장 부지 활용의 용역에 대해 의문까지 제기하고 있다. 이미 선정된 방안을 두고 용역을 한 것 아니냐는 투명성까지 문제를 삼았다.

상인회, 생존권등 이유 현대화 완강
인근 아파트 주민들 학교 설립 목청

시 관계자는 "적법한 공모절차에 의해 연구용역이 진행됐으며 부지 활용 방안의 구체적인 내용은 변경될 수 있다"고 설명했지만 문제는 시 또한 현재 주민과 상인회를 모두 아우르는 뾰족한 수가 없다는 것이다.

이 현안에 대해 깊게 개입한 김남국 의원 등 지역구 의원들도 숙제를 잔뜩 안은 상태다.

김 의원은 "공공성이 담보된 부지 활용이 이뤄져야 한다"며 "시민들의 의견이 가장 중요한 만큼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교두보 역할을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안산/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