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7R구역이 광명뉴타운 정비사업구역에서 해제된 이후 6년여 만에 공공재개발로 재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사업 부지 내 부동산 소유자들의 공공재개발 찬성률이 8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세입자들의 공공재개발 찬성률은 50%에 미치지 못하면서 입장 차이를 여실히 보여줬다.

21일 경기주택도시공사(GH)의 '(가칭)광명 7R구역 공공재개발사업 정비계획 수립을 위한 주민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유자의 공공재개발 찬성률은 매우 찬성(63.7%), 다소 찬성(15.8%) 등 79.5%를 기록했다. '다소 반대'(8.3%), '매우 반대'(4.6%) 등의 반대율은 13%였다.

공공재개발사업 찬성 이유는 '보다 좋은 주택에서 거주 가능'(73.1%), '부동산 가치 상승'(23.4%)이 절대 다수를 차지했다. 소유자의 71.7%는 재개발 완료 후 재입주·분양 의향이 있다고 답했는데 전용면적은 59㎡(46.3%)와 84㎡(37.5%)를 선호했다.

이에 반해 세입자의 공공재개발사업 찬성률은 매우 찬성 6.9%, 다소 찬성 39.4%로 46.3%에 불과했고 '저렴한 주택 구하기 힘듦'(51.9%), '임대 아파트 입주 시 경제적 부담'(38.8%) 등으로 인해 찬성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재개발 완료 후 재임차 의향에 대해선 '반반'(35.7%), '다소 있다'(27.9%), '별로 없다'(21.5%) 등으로 엇갈렸으며 재임차를 기피하는 이유로는 '임대료 및 아파트 관리비 부담'(82.5%)을 꼽았다. 희망주택 규모도 전용면적 39㎡ 39.4%, 44㎡ 28.8%, 59㎡ 21.2%, 84㎡ 10.6% 등으로 소유자와 다르게 소형 평수의 선호도가 높았다.

한편 소유자와 세입자 모두 정비계획 수립 시 중요 고려 사항으로 '거주민 재입주'(소유자 40.1%, 세입자 40.2%)를 꼽았으며 개선 희망 정비기반시설로도 '도로여건 개선', '생활녹지·휴게공간 확보', '보행환경 개선' 등이 차지했다.

광명/문성호기자 moon2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