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평에서 가축분뇨 퇴비 악취로 축산농민과 주민 간 갈등(12월 19일 8면 보도=안 쓸수도 없고… '축분 퇴비 악취' 대책 없나)이 빚어지고 있는 가운데, 축산농가가 해결방안으로 제시한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건립을 놓고 가평군이 이견을 보여 논란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28일 가평군과 축협 등에 따르면 가평지역에서 연간 발생하는 11만5천여t의 가축분뇨는 농경지 환원 6만3천t(61%), 공공 가축분뇨 위생처리장(뇨처리) 2만4천t(21%), 축분퇴비공장 1만5천여t(13%), 자가 계분퇴비 생산 5천t(4%) 등으로 처리되고 있다.
28일 가평군과 축협 등에 따르면 가평지역에서 연간 발생하는 11만5천여t의 가축분뇨는 농경지 환원 6만3천t(61%), 공공 가축분뇨 위생처리장(뇨처리) 2만4천t(21%), 축분퇴비공장 1만5천여t(13%), 자가 계분퇴비 생산 5천t(4%) 등으로 처리되고 있다.
61% 농경지 환원… 악취 발생
군, 공공시설 건립 동의하지만
민원·의무적 부숙도 검사 부담
이처럼 60% 이상의 축분이 농경지 환원으로 처리되면서 가축분뇨 퇴비로 인한 악취가 발생, 축산농민과 주민 간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축산농가와 축협 등은 이러한 문제의 해결할 방안으로 가축분뇨 공공시설 건립 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가축분뇨 공공시설은 해당 농가뿐만 아니라 지역에 필요한 시설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해당 시설이 들어서면 가축분뇨의 자원화 등으로 경종농가와 축산농가 간 유기적 협력관계가 구축되고 현대화된 시설로 악취 등 문제점 상당수가 해결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반면 군은 가축분뇨처리에 대한 문제 인식을 같이하면서도 민원 발생 등을 우려해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건립에 부정적 시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축산농가가 감소하는 추세인 데다 가축분뇨를 퇴비화해 배출할 경우 의무적으로 가축분뇨 퇴비 부숙도 검사를 시행하는 것도 부정적인 이유로 들고 있다.

축산농민 A씨는 "썩은 생선은 방향제와 향수만 뿌린다고 악취가 없어지지 않는 것처럼 지금의 축산정책은 방향제만 뿌려대는 정책"이라며 "군과 축협 등이 공유해서 현대화시설을 갖춰 축협에 위탁하면 운영에 어려움은 없을 듯 하다"고 제시했다.
축협 관계자도 "수도권의 가평은 관광지 및 숙박시설이 산재해 있는 도·농 복합지역으로 현대화된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이 무엇보다 필요한 지역"이라며 "이 시설이 들어서면 축분처리는 물론 양질의 유기질 비료를 확보할 수 있고 악취 제거 등 환경문제도 제도화를 통해 철저한 관리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해당 시설이 필요한 시설임에도 입지 등 문제 해결에 제약이 많다"며 "가축분뇨 처리를 위해 관련 기관 등과 지속해서 협의 과정을 거치고 있는 중이지만 난제"라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가평/김민수기자 km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