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브란스병원과 아산병원 등 인천경제자유구역에 예정됐던 국내 대형 병원 건립 사업이 최근 본격화하고 있다. 인천 지역 의료서비스 질 향상은 물론 경제자유구역 정주 여건 개선에도 이들 병원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송도세브란스병원 2026년 개원
유전성 질환 등 관련 분야 기대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연세대는 지난달 28일 인천 송도국제도시 연세대 국제캠퍼스에서 송도세브란스병원 착공식을 개최했다.
송도세브란스병원은 연세대 국제캠퍼스 내 8만5천㎡ 부지에 지하 3층~지상 15층, 800병상 규모로 건립된다. 2026년 12월 개원할 예정이다.
미래형 병원이라는 타이틀을 내건 송도세브란스병원은 AI와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 접목, 살아있는 세포를 사람에게 이식해 난치 질환을 치료하는 세포 치료, 유전체 검사를 통해 유전성 질환을 선제적으로 예측하고 대응하는 첨단 유전체 기반 의료 실현 등 정밀의료병원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 최대 바이오산업 단지인 송도에 들어서는 세브란스병원은 바이오 분야 연구 기능을 갖춘 거점병원 역할도 한다. 국내외 바이오 기업과 연구소, 제약사 등과 연계해 산·학·연·병 협력 모델을 구축하고, 바이오헬스 융합 연구 등을 통해 관련 기업들과 시너지 효과를 낸다는 구상이다.
서울아산병원 '청라의료복합타운'
정부 심의 통과… 2028년 준공
인천 청라국제도시에 서울아산병원 등을 짓는 '청라의료복합타운' 조성 사업도 최근 정부 심의를 통과해 본궤도에 올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2일 열린 제133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에서 청라의료복합타운 조성을 위한 개발계획 변경안이 원안 의결했다.
아산병원, 케이티앤지(KT&G), 하나은행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은 인천 서구 청라국제도시 26만㎡ 부지에 8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서울아산병원 청라)과 의료바이오 교육·연구시설, 라이프사이언스파크, 노인복지주택, 오피스텔, 메디텔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총사업비는 2조4천여억원이다. 서울아산병원 컨소시엄은 2028년 사업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제자유구역에 들어서는 이들 병원은 단순히 환자 치료 기능을 넘어 인천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투자하고 있는 바이오·제약 분야 등의 연구 기능도 함께 갖추고 있다.
송도에 들어서는 세브란스병원의 경우 유전성 질환 등에 특화한 정밀의료병원을 콘셉트로 하고 있어 관련 분야 기업·연구기관 등과도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대형 종합병원 건립으로 경제자유구역 주민들의 정주 여건도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2003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지정된 인천경제자유구역 내에는 마땅한 대형 종합병원이 없어 주민들의 불편이 컸다.
이처럼 송도·청라국제도시의 종합병원 건립은 본궤도에 올랐지만 영종국제도시에 추진됐던 국립대병원 분원 설치는 정부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사실상 무산된 상황이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세브란스와 아산병원 등이 계획된 시기에 개원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이라며 "영종국제도시 의료기관 유치의 경우 인천시 등과 논의해 대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