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자유구역이라는 디딤판을 딛고 힘차게 도약하는 풍요로운 고양시를 만들기 위해 새해에도 현장에서 발로 뛰는 시장이 되겠습니다." 취임 후 고양시를 경기북부 최초의 경제자유구역 후보지에 올리며 민선 8기 공약의 첫 단추를 성공적으로 채운 이동환 고양시장.
이 시장은 "지난해에는 경기 북부 최초의 경제자유구역 후보지 선정을 비롯해 새로운 도약의 싹을 틔운 해였다. 새해에는 이런 성과를 디딤돌 삼아 일자리·문화·복지가 풍요로운 '글로벌 자족도시' 고양을 향해 더 나아가겠다"고 천명했다.
지난해 그는 이스라엘, 아랍에미리트, 몽골을 방문해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기업교류, 투자유치 협력을 위한 우호교류도 확대했다. 삶의 현장에서 생생한 목소리를 듣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해 취임 후 4개월간 관내 44개 동을 모두 찾아 주민들의 불편에 충분히 공감하며 진솔한 대화를 나눴다.
4일 기자회견서 市신청사 건립 구체적 방향 발표
경제 격차 해소 선행… 북부특별자치도 시기 상조
예산 미편성 시민불편 파악… 선결처분권 발동 고려
이 시장은 올해 가장 큰 시정목표에 대해 주저없이 경제자유구역 추진을 꼽았다.
그는 "올해 경기도와 함께 경제자유구역 지정신청을 위한 구체적인 용역에 착수한다"며 "내실 있는 추진을 위해 기회가 될 때마다 외국 기업 유치와 교류확대를 위한 밑거름을 차근차근 준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새해 시민들과 국내외 여러 기관, 기업들과 활발히 소통하며 어려움을 최대한 해결하고 공약들을 어느 정도 궤도에 올리는 것을 목표로 시정을 운영하겠다"고 약속했다.
시민들의 관심사인 시청 신청사 건립에 대해서 이 시장은 "주어진 예산을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시민들이 이용하기에 편리한 신청사를 건립하기 위해 방법을 찾고 있다. 4일 기자회견을 열어 신청사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 북부특별자치도 설치에 대한 입장에 대해서 그는 "고양시가 과밀억제권역,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군사시설보호구역이란 삼중규제를 받고 있는 한 경기도 분도는 아직 시기상조라는 입장이다. 경기북부에 과중돼 있는 규제로 초래된 남부와 북부 간 경제적 격차 해소가 선행돼야 한다"고 전제했다.
이어 그는 "고양경제자유구역 지정과 삼중규제의 단계적인 완화를 통해 경기북부의 자생력을 확보하고 경기남부와 북부의 균형적인 성장을 어느 정도 이룬 후에 분도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피력했다.

시의회의 파행으로 새해 예산안 처리가 지연됨에 따라 이 시장은 지난해 12월30일 담화문을 발표하고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고양으로 나아가기 위해 하루빨리 예산안을 처리해 달라"며 시의회의 조속한 예산안 처리를 호소했다.
앞서 시는 지난해 12월30일 준예산 편성을 확정해 각 부서에 편성안을 통보한 뒤 2일 시의회에 제출했고 준예산체제 돌입에 따라 시민피해를 최소화하도록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에서 제출한 내년도 본예산안은 총 2조9천963억원으로, 이 중 78.5%인 2조3천544억원이 준예산으로 반영될 예정이다.
이 시장은 "시는 예산 미편성에 따른 시민불편 사항을 파악하고 있다"며 "준예산만으로는 시민들의 피해가 상당할 것으로 보고 '선결처분권' 발동을 고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희망의 새해를 염원하는 시민들의 마음을 잊지 않고, 미래를 바꾸는 힘인 시민 여러분과 함께 새로운 고양을 열어가겠다"며 "오늘 뿌린 씨앗이 내일의 결실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 달라"고 당부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새해에는 고양시민을 비롯한 여러분들의 소망이 모두 뜻하는 대로 이뤄지길 바라며, 가정에 평안과 행복이 가득하기를 기원드린다"고 덧붙였다.
고양/김환기기자 kh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