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지자체 대다수가 하수도 재정에서 심각한 적자를 보고 있다. 하수도 요금도 지역마다 천차만별인데, 안정적인 운영과 지역 간 형평을 위해선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경기도와 도내 각 지자체에 따르면 2020년 결산 기준 도 전역에선 한 해 약 14억6천253만7천272t의 하수가 발생했으며, 각 지자체는 이를 정화하는데 1조7천937억6천515만원을 투입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사용자에게 받은 요금총액은 처리원가에 절반에도 못 미치는 8천193억9천561만원 정도로, 비율로 따지면 45.7%에 그친다.
징수 요금 총액은 8193억 불과
'현실화율' 여주 7.1·양평 7.5%

이처럼 사용자에게 걷는 요금 대비 처리원가를 나타낸 수치를 '하수도 요금 현실화율'이라고 하는데, 도내 31개 시·군 가운데 하수도 요금 현실화율이 정부 권고 기준인 70%를 넘는 지자체는 31개 시·군 가운데 의왕·수원·광명 등 3곳밖에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나머지는 처리비용의 절반도 회수하지 못하는 곳이 태반이다. 현실화율이 낮은 지자체는 여주(7.1%), 양평(7.5%), 연천(11.3%), 가평(12.2%), 포천(18.5%), 안성(21.9%), 양주(29.5%), 하남(35.6%), 동두천(36.1%), 평택(38%), 남양주(39.2%), 광주(40.1%), 용인(42.7%), 파주(43%), 성남(44.1%), 김포(44.7%), 이천(44.9%), 구리(47.2%), 의정부(51.1%) 순이었다.
현실화율이 가장 낮은 여주시의 경우 2020년 하수도 처리에 200억9천393만여원을 들이고도, 요금은 14억3천547만여원만 걷어 180억원이 넘는 적자를 본 것으로 드러났다.
하수도 요금 현실화율이 낮으면 시민이 하수도를 쓸수록 비용 적자가 발생하고, 이는 고스란히 하수도 회계 손실로 이어져 지자체 재정의 부담으로 작용한다.

요금단가 지역별 최대 5배 차이
지자체별로 현실화율이 낮은 이유는 각기 다르다. 양평군과 가평군처럼 면적에 비해 사용자가 적으면 관로가 길고 하수 이송 등에 필요한 비용이 많이 들어 현실화율이 낮아진다. 하지만 그 외에도 시·군이 물가안정과 민원 등을 이유로 요금 인상에 소극적일수록 적자구조가 심화된다는 것이 전문가의 설명이다.
현실화율과 별개로 도내에서 하수도 요금이 비싼 곳은 가평군으로 902원/t이었으며, 가장 싼 곳은 여주시로(170/t) 둘의 차이는 5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성남(336원/t), 안산(366원/t), 구리(432원/t), 군포(474원/t), 하남(475원/t)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었다.
여주시 관계자는 "수년 전부터 하수도 요금을 올리려고 시도했으나 무산되고, 코로나19 여파로 오히려 감면 대상이 많아지면서 현실화율이 크게 떨어지게 됐다"며 "내년부터는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3면([경인 WIDE] 재정 건전성 악화 '악순환'… 신규 시설 투자 꽉 막힐라)
/지역종합·김도란기자 doran@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