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성시가 지난 17일 공무직 노조가 가진 '임금협상 결렬에 따른 규탄 기자회견'(1월18일자 8면 보도="실질임금 삭감·저임금 고착화" 안성시 규탄)과 관련해 공식적인 유감 표명과 함께 노조의 교섭장 복귀를 촉구했다.
안성시는 19일 보도자료를 통해 "시는 민주노총 민주일반연맹 평택안성지역노동조합(이하 공무직 노조)과 지난해 10월 말부터 7차례에 걸쳐 교섭을 진행했고, 그 과정에서 공무직 노조측 교섭요구안 중 상당 부분에서 타결의 실마리가 보였음에도 뜬금없이 사측 교섭대표(김보라 시장)를 '노동자들의 실질임금을 하락시키는 시장'으로 묘사해 교섭 결렬의 책임을 시에 전가한 부분은 도가 지나쳤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시는 "시에서 행정업무를 하는 사람은 공무원과 공무직 등 직군이 다양하며, 공무원들은 정부의 방침에 따라 지난해 급여의 1.4%가 인상됐다"며 "그럼에도 공무직 노조는 마치 공무직들에게만 특별히 낮은 인상률을 제시한 것처럼 표현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노조에서 여러 차례 강조한 1.4% 인상률도 사실이 아니다"라며 "교섭 과정에서 '상여금을 기본금에 산입한다'는 내용에 잠정 합의를 한만큼 이는 추가로 2% 이상의 임금 상승이 수반된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시는 "공무직 노조가 지난 18일부터 출근 선전전 등을 통해 시를 압박하겠다고 밝혔지만 시는 위법한 청사 점거와 허위사실 유포 등의 행위가 나타나면 법적 조치도 고려할 수밖에 없다"면서 "공무직 노조는 지금이라도 다시 교섭 석상에 나와 함께 문제를 풀기 위한 노력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