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성시 인구가 정체를 넘어 소폭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면서 인구 증가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안성시가 최근 시청 홈페이지를 통해 공표한 '2022년 12월 기준 안성시 인구 및 세대현황'에 따르면 안성 인구는 전년 동월대비 692명 감소한 18만8천842명으로 집계됐다.
15개 읍·면·동별 인구 증감 추이를 살펴보면 안성2동과 삼죽면, 대덕면, 원곡면, 금광면 등 5개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인구가 감소했다.
지역별로 가장 인구가 많이 감소한 지역은 안성1동과 안성3동, 공도읍 순서로 이곳에서만 총 637명의 인구가 줄었다.
다만 안성1동과 안성3동 인구 감소의 경우는 인근 지역인 안성2동에 미니 신도시가 생긴 탓에 풍선효과로 인한 인구 이동이 주된 요인인 만큼, 실질적인 인구 감소는 공도읍과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비도심 지역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인구 증가에 견인차 역할을 해왔던 인구밀집지역인 공도읍의 경우 접경지역인 평택의 주택시장 거품이 걷어지면서 아파트 가격이 급락해 평택으로 이주하는 인구가 늘어난 것이 뼈 아픈 상황으로 작용했다. 실제로 6만이 넘던 공도읍의 인구가 이번 집계에선 5만9천930명으로 감소했다.
게다가 비도심 지역으로 분류되는 11개 면 단위 지역들 중에서도 아파트가 건설된 원곡면과 대덕면 등 4개 지역을 뺀 나머지 지역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비도심 지역에 대한 균형발전의 목소리도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한 각종 우려와 시급한 대책 마련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시민들은 "한 때 19만이 넘었던 인구가 다시 18만대로 주저앉은 것은 그만큼 시민들이 원하는 주거 환경을 안성시와 정치권 등이 만들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라며 "접경지역인 평택시와 용인시 등은 인구가 한 해에만 수만여명씩 늘어나고 있는 판에 잡은 물고기도 놓치는 형국이라면 무엇을 믿고 앞으로 안성에 거주하겠냐"고 한 목소리로 지적했다.
이어 "지금에라도 시와 정치권 등은 인구 증가를 위한 실질적인 청사진을 제시하고 내실 있게 정책을 추진해 나가야 안성이 도태되지 않는 도시가 될 것"이라며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
안성시가 최근 시청 홈페이지를 통해 공표한 '2022년 12월 기준 안성시 인구 및 세대현황'에 따르면 안성 인구는 전년 동월대비 692명 감소한 18만8천842명으로 집계됐다.
15개 읍·면·동별 인구 증감 추이를 살펴보면 안성2동과 삼죽면, 대덕면, 원곡면, 금광면 등 5개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인구가 감소했다.
지역별로 가장 인구가 많이 감소한 지역은 안성1동과 안성3동, 공도읍 순서로 이곳에서만 총 637명의 인구가 줄었다.
다만 안성1동과 안성3동 인구 감소의 경우는 인근 지역인 안성2동에 미니 신도시가 생긴 탓에 풍선효과로 인한 인구 이동이 주된 요인인 만큼, 실질적인 인구 감소는 공도읍과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비도심 지역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인구 증가에 견인차 역할을 해왔던 인구밀집지역인 공도읍의 경우 접경지역인 평택의 주택시장 거품이 걷어지면서 아파트 가격이 급락해 평택으로 이주하는 인구가 늘어난 것이 뼈 아픈 상황으로 작용했다. 실제로 6만이 넘던 공도읍의 인구가 이번 집계에선 5만9천930명으로 감소했다.
게다가 비도심 지역으로 분류되는 11개 면 단위 지역들 중에서도 아파트가 건설된 원곡면과 대덕면 등 4개 지역을 뺀 나머지 지역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비도심 지역에 대한 균형발전의 목소리도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한 각종 우려와 시급한 대책 마련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시민들은 "한 때 19만이 넘었던 인구가 다시 18만대로 주저앉은 것은 그만큼 시민들이 원하는 주거 환경을 안성시와 정치권 등이 만들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라며 "접경지역인 평택시와 용인시 등은 인구가 한 해에만 수만여명씩 늘어나고 있는 판에 잡은 물고기도 놓치는 형국이라면 무엇을 믿고 앞으로 안성에 거주하겠냐"고 한 목소리로 지적했다.
이어 "지금에라도 시와 정치권 등은 인구 증가를 위한 실질적인 청사진을 제시하고 내실 있게 정책을 추진해 나가야 안성이 도태되지 않는 도시가 될 것"이라며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