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성시가 행정력을 총동원해 추진 중인 반도체소부장특화단지 조성 성사 여부가 '지역 핫이슈'로 급부상하고 있다.
김보라 시장은 민선 8기 취임과 동시에 '중단없는 안성발전'을 위해 '반도체 특화단지'를 반드시 조성하겠다고 대내외에 천명했다. 이후 시는 반도체소부장특화단지 조성 및 유치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먼저 시는 보개면 동신리 70번지 일원 157만여㎡ 부지에 총사업비 5천946억원을 투입해 반도체 업체 유치를 위한 특화단지 조성을 계획해 공업물량을 사실상 확보해둔 상태다.
김보라 시장은 민선 8기 취임과 동시에 '중단없는 안성발전'을 위해 '반도체 특화단지'를 반드시 조성하겠다고 대내외에 천명했다. 이후 시는 반도체소부장특화단지 조성 및 유치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먼저 시는 보개면 동신리 70번지 일원 157만여㎡ 부지에 총사업비 5천946억원을 투입해 반도체 업체 유치를 위한 특화단지 조성을 계획해 공업물량을 사실상 확보해둔 상태다.
시, 동신리 157만㎡ 공업물량 확보
산업부 지정 수요조사·공모도 참여
위치·교통 등 클러스터 입지 우수
부처 방문·자문단 구성 유치 온힘

또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지난해 8월부터 산업통상자원부가 시행 중인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을 위한 수요조사와 지정공모에도 참여한 상태다. 시는 산업부가 올해 초 지정공모에 참여한 광역지자체와 기업 등을 상대로 한 평가지표에서 우수한 점수를 획득해 올해 상반기 예정부지를 특화단지로 지정받을 수 있도록 사전준비 중이다.
안성은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을 이끌어가는 삼성반도체와 SK하이닉스 등이 위치한 평택·용인시와 사업 부지 거리가 각각 22㎞·14㎞로 차량으로 20분 이내에 위치, 경기남부 반도체 클러스터 형성이 가능하다. 특히 평택~제천 고속도로와 국도 38호선 뿐만 아니라 제2경부고속도로까지 개통되면 지리적 위치·교통 등 입지여건이 어느 지역보다 우수하다는 강점을 앞세우고 있다.
이 같은 논리로 무장한 김 시장과 시 관계자들은 관련 중앙부처를 연이어 방문해 특화단지 지정 당위성을 설파, 관계자들의 긍정적 생각을 이끌어 내는 성과를 내고 있다. 또 지역기업인들과의 간담회 및 각종 포럼·특별강연 개최, 기업·학계 등 분야별 전문가로 포진된 '안성시 반도체 산업 육성 자문단'을 구성해 특화단지 유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는 이와함께 총사업비 300억원을 들여 관내 4천㎡ 부지에 반도체 인력양성센터를 건립, 관내 5개 대학과의 협력체계를 통해 반도체 분야 맞춤형 실무 인력 양산 교육은 물론 재직자에 대한 재교육도 병행할 예정이다.
김 시장은 "반도체 산업은 안성을 넘어 대한민국을 이끌어 나갈 핵심 산업인 만큼 안성의 도시 경쟁력을 위해서라도 반도체 산업을 미래 전략의 핵심으로 삼게 됐다"며 "관내 기업과 대학, 시민과 함께 소통하며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에 앞장서고, 이를 토대로 안성시가 K-반도체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반드시 해당 사업을 성사시키겠다"고 밝혔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