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쌍용자동차가 유럽 시장 진출 공략 확대와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유럽의 사이버 보안 관리체계 CSMS(Cyber Security Management System) 인증을 취득했다.
16일 쌍용차에 따르면 유럽경제위원회(UNECE)는 2020년 7월 관련 법규(UNR155)를 제정하고 CSMS 인증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CSMS 체계에 따라 차량이 개발됐는지 판단하는 형식 승인(VTA)도 받아야 한다.
16일 쌍용차에 따르면 유럽경제위원회(UNECE)는 2020년 7월 관련 법규(UNR155)를 제정하고 CSMS 인증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CSMS 체계에 따라 차량이 개발됐는지 판단하는 형식 승인(VTA)도 받아야 한다.
CSMS는 자동차와 전기·전자 부품 등 그 시스템을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자동차 개발과 생산, 생산 이후 단계 등 해당 차량의 전체 사이클에 대한 체계적인 프로세스와 관리 시스템 구축을 요구한다. CSMS 인증(갱신)은 3년마다 받아야한다. 지난해 7월부터 유럽에서 판매되는 신차와 오는 2024년 7월부터 현지에서 팔리는 모든 양산 차는 사이버 보안 법규를 충족해야 한다.

이에 따라 쌍용차는 지난해 12월 CSMS 인증을 취득했으며 올 하반기까지 SUMS(Software Up date Management System)와 VTA 인증도 취득할 예정이다.
쌍용차는 "보안기술 전문업체와의 기술협력을 바탕으로 최고의 보안기술과 시스템을 갖춘 CSMS 구축을 통해 안전한 주행환경 확보는 물론 탑승자와 보행자의 안전과 개인 정보 및 중요 데이터 보호 관리에 만전을 기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