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수 김포시장이 시민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2023.2.18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김병수 김포시장이 시정설명회를 통해 시민들과 직접 소통했다. 생활SOC 민원이 주를 이뤘던 이 자리에서 김 시장은 되는 건 된다, 안 되는 건 안 된다고 명확히 설명하는 한편 공직자들이 시민 편의를 위해 진심으로 노력하고 고민한다는 점을 수차례 강조했다.
주말을 앞둔 지난 17일 저녁 김포아트홀 공연장이 가득 들어찬 가운데 '2023 시민과 통하는 시정설명회'가 열렸다. 최근 통진읍에서 치러진 시정설명회에 이어 두 번째로, 이날은 원도심이 포함된 남부권 시민들이 대상이었다.
행정·교통·복지 등 김포시가 추진하는 다양한 정책을 안내하는 자리였지만, 김 시장은 브리핑을 끝내고 시민들의 목소리를 최대한 청취하며 질의응답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를 둔 학부형으로 자신을 소개한 장기동 주민은 중학교 과밀학급 문제를 호소했다. 장기동 주민들은 현재 가현초교와 아파트단지 사이 사회복지시설용지에 중학교 신설을 요구하고 있다. 김포시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소유한 이 용지에 중학교 건립을 염두에 두고 용도변경 용역을 진행 중이다.
이와 별도로 민선 8기 김포시는 학생 수가 감소할 경우 추후 다목적 공공시설로 이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학교건축물'을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미래형 학교건축물은 학생들의 창의성을 높이고 정부의 투자심사 통과도 수월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원도심 등 남부권 시민 대상 시정설명회 개최 생활SOC 조성 요구부터 개인사까지 쏟아져 "예산 없는 와중, 공직자들 방법 찾으려 고생"
답변에 나선 김병수 시장은 "LH가 주장하는 토지가격과 김포시가 생각하는 가격, 또 교육당국이 매입할 수 있는 가격 간 차이가 있다. 이 용지를 싸게 매입할 방법을 찾고 있다"며 "이를테면 토지 원가가 400억이고 감정가가 600억이라 하면 학교 못 짓는다. 100~150억이어야 가능하므로 용도를 변경해 조성원가로 받을 수 있도록 해보려 한다"고 했다.
김 시장은 이어 "그렇게 되면 LH의 손실을 어디서 만회해줄지 협의가 필요할 것"이라며 "용지 매입문제의 매듭을 찾을 것이고, 찾아지면 바로 말씀드리겠다"고 약속했다.
또 다른 주민은 주민총회 예산 삭감을 김 시장이 직접 지시했는지 따져 묻고, 장애인택시 공급량이 충분해졌다는 주장을 펴며 관내 장애인주차구역 감축을 건의했다.
김병수 시장은 "예산 삭감의 구체적인 항목까진 기억나지 않으나 주민들에 지원되는 예산은 많은데 재원은 한정돼 있고, 약자에게 돌아가는 예산을 늘려보자는 취지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장애인주차구역과 관련해서는 "장애인택시 공급은 지금도 충분치 않으며, 장애인주차장은 임의로 조정할 수 없고 법이 바뀌어야 한다"며 "비장애인이 보면 속상하겠지만 장애인들은 급할 때 건물과 가까운 주차장이 필요하다. 약자에 대한 배려니까 그 정도는 참아주면 좋겠다"고 잘라 말했다.
한강변 친수지구 청사진을 설명하는 김병수 김포시장.2023.2.18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고촌읍 한 주민은 "집을 지은 지 40년이 넘었는데 그린벨트 때문에 법정도로 개설이 안 돼 집을 신축할 수가 없다"며 현황도로의 법정도로 전환을 요구했다.
김병수 시장은 "법적으로 불가능한 걸 해주면 특혜 및 직권남용 소지가 있고 공직자들이 징계를 받는다"며 "이런 건 국민권익위 같은 곳에 얘기해봐야 하는데, 김포시에서 법적인 문제를 확인해 구제방법을 찾아보겠다"고 했다.
행사 말미에는 원도심 생활SOC와 관련해 김 시장이 몇 차례 예산문제를 언급하자 객석에서 "예산 부족하다는 얘기 좀 하지 말라"는 항의가 나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김병수 시장은 "예산이 없는 건 사실인데 공직자들이 시민들께 안 해드리는 게 아니라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었다. 왜 예산이 있는데 체육시설도 복지시설도 왜 안 해드리겠느냐"며 "안 해주고 싶어서 안 해주는 공직자는 없다. 예산이 부족하다면 국비와 도비, 그것도 안 되면 다른 곳에서 끌어오기라도 하는 등 방법을 찾기 위해 공직자들이 고생한다는 점을 알아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