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0601000196100008581.jpg
최근 양평 레일바이크의 유원시설업 허가가 취소됐다.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채 레일바이크 시트에는 먼지가 쌓여있고 바퀴는 녹슬어 있다. 2023.3.4 양평/장태복기자 jkb@kyeongin.com

양평 레일바이크의 유원시설업 허가가 양평군에 의해 직권 취소된 것으로 밝혀졌다.

국가철도공단의 임대료 상승으로 인한 사업성 하락으로 인수도 쉽지 않아 레일바이크가 이대로 문 닫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는 상태다.

2023030601000196100008582.jpg
양평 레일바이크 매표소에는 '종료'란 종이 문구가 걸려있고 문은 쇠사슬로 잠겨져 있다. 2023.3.4 양평/장태복기자 jkb@kyeongin.com

6일 양평군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양평 레일바이크에 대한 유원시설업 허가가 직권 취소됐다.

관광진흥법에 따르면 사업자등록이 말소된 경우 지자체장은 허가를 취소할 수 있는데, 2020년 레일바이크가 휴업한 후 이듬해 원사업자의 별세 등 내부 사정이 겹쳐 2021년 7월10일 사업자 등록 폐업 신고를 진행했다. 이후 군은 행정절차법에 따라 레일바이크 관계자에 대한 청문을 실시했으나 친인척 중에서도 청문회 참석자가 없었다고 밝혔다.

2023030601000196100008583.jpg
유원시설업 허가가 취소된 양평 레일바이크 입구. '휴업중'이란 현수막과 함께 쇠사슬이 처져있다. 2023.3.4 양평/장태복기자 jkb@kyeongin.com

양평 레일바이크는 용문~원덕 왕복 6.4㎞를 오가는 관광용 철길 자전거로 2010년대 초반 운영을 시작했다.

레일바이크는 국유재산법에 따라 국가철도공단에 철로 임대료를 내게 돼 있는데, 2019년경 임대료 상승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로 휴업 절차에 들어간 이후부터 현재까지 운영이 중단된 상태다.

군 관광과 관계자는 "수익창출을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기에 군은 직접 사업을 할 수 있는 여건도 되지 않을 것 같다"며 "현재도 레일바이크(인수)와 관련해 계속 문의하시는 분들이 계신다. 인근 분들도 에코포레스트 사업과 함께 민간유치를 시도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일단 현재로서는 당분간 휴업상태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양평/장태복기자 jkb@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