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포지역 한 신도시단체가 데이터센터 신축에 따른 전자파 피해를 주장하며 1천500억원의 발전기금을 건축주에 요구한 것으로 확인됐다.
단체는 데이터센터 건립을 저지하려는 의도가 더 크다고 밝혔지만, 적법하게 허가받은 건축행위에 다소 과도한 요구조건이 내걸리면서 행정신뢰도 하락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8일 경인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김포한강신도시 A단체는 지난달 말 김포시 관계자들을 만나 구래동 데이터센터 특고압 송전선로 피해대책으로 신도시 발전기금 1천500억원, 송전선로 인접 아파트단지별 5억원의 보상안을 건축주 측에 전달해 달라고 요청했다.
요구안에는 송전선로 매설 깊이 변경(10m 이상), 차폐시설 보완, 방음시설·미세먼지측정소 설치 등도 포함됐으며 면담에 배석한 B아파트단지 관계자는 이와 별도로 시에 건축허가 취소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래동 데이터센터는 민선 7기 때인 2021년 6월 미국계 데이터센터 회사에서 연면적 1만1천400여㎡, 지상 4층~지하 8층 규모로 건축허가를 받았다. 지난해 10월 착공신고가 접수됐으나 이 무렵부터 불거진 주민들의 반발로 공사를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
다른 아파트단지서는 허가 취소 요구
지역정치권, 과도 지적 "김포시 중재를"
인근 아파트 주민들은 송전선로 매설 깊이를 집중적으로 문제 삼고 있다. 변전소에서 데이터센터 부지까지 약 2.4㎞ 구간에 선로가 먼저 매설됐는데, 깊이가 1~2m에 불과해 전자파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는 게 주민들의 주장이다.
이들은 또한 데이터센터 가동 시 소음·진동·분진·냉각수 피해도 문제시하고 있다.
단체의 요구조건을 전해 들은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데이터센터가 전국 곳곳에 조성되는 와중에 김포에서만 1천500억원의 기금을 요구하는 건 의도를 떠나 과도하게 비칠 수 있다"며 "이대로 분쟁이 장기화하면 행정 전반에 대한 불신을 유발하고 지역 이미지까지 실추될 수 있는 만큼, 김포시의 적극적이고 원칙적인 중재가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A단체 관계자는 "보상안은 착공을 막으려는 목적이 더 크다. 공사금액이 그 정도 될 것"이라며 "가장 큰 문제는 송전선로의 유해성이고, 이 때문에 우리는 전력구를 새로 설치해 그 안에 선로를 넣고 깊게 매설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콤팩트시티가 조성되면 한강신도시 거의 중심부에 유해시설이 들어서는 것과 마찬가지다. 집회와 감사의뢰 등 모든 방법을 동원해 건립을 막아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시 관계자는 "실제 그 금액을 받아내려는 취지는 아니었을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적법하게 이뤄진 허가를 민원 때문에 강제로 취소할 수는 없는데, 건축주 측이 공사를 서두르지 않겠다며 오늘 착공신고 취하서를 제출했다"고 말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