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포시가 생활폐기물 광역소각장(자원회수센터) 입지 선정을 추진 중인 것과 관련(2022년 11월29일자 8면 보도=쓰레기대란 올텐데… '김포 광역소각장' 잡음), 소각장 건립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선행돼야 한다고 시민단체가 주장했다.
인천 수도권매립지 운영이 중단되는 2026년부터 생활폐기물 자체 처리가 불가피해지는 만큼 다양한 지원안과 시설 보강대책을 추가로 수립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포지역 시민단체 '시민의힘'은 최근 성명을 통해 "시민들이 납득 가능한 숙의과정을 거쳐야만 사회적 갈등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며 입지 선정에 앞서 공론화부터 할 것을 요구했다.
하루 500톤 용량 광역소각장 후보지 공모단계
시민의힘, 입지 선정 앞서 숙의 기구 구성 요구
"2026년부터 김포 발생 쓰레기는 김포서 처리,
파격적 인센티브 및 지역 발전·편의 시설 필요"
김포시는 고양시와 함께 사용하게 될 자원회수센터(소각용량 하루 500t) 건립을 위해 지난해 하반기 입지 후보지를 공모했다가 미달하자 주민동의율을 기존 80%에서 60%로 낮춰 올해 2월 재공모했다.
김포지역 시민단체 '시민의힘'은 최근 성명을 통해 "시민들이 납득 가능한 숙의과정을 거쳐야만 사회적 갈등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며 입지 선정에 앞서 공론화부터 할 것을 요구했다.
하루 500톤 용량 광역소각장 후보지 공모단계
시민의힘, 입지 선정 앞서 숙의 기구 구성 요구
"2026년부터 김포 발생 쓰레기는 김포서 처리,
파격적 인센티브 및 지역 발전·편의 시설 필요"
김포시는 고양시와 함께 사용하게 될 자원회수센터(소각용량 하루 500t) 건립을 위해 지난해 하반기 입지 후보지를 공모했다가 미달하자 주민동의율을 기존 80%에서 60%로 낮춰 올해 2월 재공모했다.
그 결과 4개 후보지가 응모해 대곶면 대벽리 2곳과 양촌읍 학운1리 1곳이 적합 판정을 받았으나 해당 후보지 주민들 가운데 소각장 건립에 동의하지 않는 이들을 중심으로 반발여론이 일고 있다.
시민의힘은 "쓰레기는 발생지에서 처리한다는 지산지소 원칙이기에, 2026년부터는 김포에서 발생한 생활폐기물을 김포의 소각장에서 처리해야 한다는 법적 현실에 대한 시민 공감대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단체는 이어 "최첨단 지하화 운영 등 기피시설이 아닌 유치시설로 받아들일 만한 파격적인 개발계획과 이와 연계한 인센티브 지급방안을 마련하고, 소각장 개념을 뛰어넘는 지역발전 선도시설 및 주민편의시설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시민의힘은 또한 "소각장 반입 전 재활용비율을 높일 수 있는 선별처리장을 모든 지역에 운영하고 소각 대상 폐기물을 감소시키는 전처리시설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의힘은 "쓰레기는 발생지에서 처리한다는 지산지소 원칙이기에, 2026년부터는 김포에서 발생한 생활폐기물을 김포의 소각장에서 처리해야 한다는 법적 현실에 대한 시민 공감대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단체는 이어 "최첨단 지하화 운영 등 기피시설이 아닌 유치시설로 받아들일 만한 파격적인 개발계획과 이와 연계한 인센티브 지급방안을 마련하고, 소각장 개념을 뛰어넘는 지역발전 선도시설 및 주민편의시설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시민의힘은 또한 "소각장 반입 전 재활용비율을 높일 수 있는 선별처리장을 모든 지역에 운영하고 소각 대상 폐기물을 감소시키는 전처리시설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 대체 매립지가 김포 쪽에 정해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들어 "수도권 제4매립지 활용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민해 '매립 연장'을 막아야 한다"고도 했다.
시민의힘은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가칭 '시민위원회' 구성을 김포시와 김포시의회에 촉구했다.
김포지역에서 벌어지는 소각장 갈등을 놓고 관련분야 한 전문가는 "쓰레기 소각시설은 이제 도로나 공원처럼 도시의 필수인프라로 봐야 한다"며 "지자체는 소각시설 유해물질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시민들은 자신들이 배출한 폐기물에 대해 책임의식을 갖고 사안에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시민의힘은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가칭 '시민위원회' 구성을 김포시와 김포시의회에 촉구했다.
김포지역에서 벌어지는 소각장 갈등을 놓고 관련분야 한 전문가는 "쓰레기 소각시설은 이제 도로나 공원처럼 도시의 필수인프라로 봐야 한다"며 "지자체는 소각시설 유해물질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시민들은 자신들이 배출한 폐기물에 대해 책임의식을 갖고 사안에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