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dfdg.jpg
평택 안중출장소~평택항을 잇는 국도 38호선의 평택 화양지구 동사현장 주출입로 앞에 설치돼 있는 비산먼지(소음·진동) 발생사업장 안내 입간판. 환경피해가 없도록 하겠다는 약속이 무색하게 공사현장 주민들의 고통은 계속되고 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

"주민들이 소음과 진동, 비산먼지, 안전 위협 등으로 고통받고 있는데 도대체 평택시는 어디에 있는 겁니까."

대형 공사차량 질주로 심각한 생활 불편 등을 호소하고 있는 평택 화양지구 공사현장 주변 주민(3월15일자 8면 보도=공사차량 마을도로 진입 막겠다더니… 평택 화양지구, 이틀만에 다시 '시끌')들이 지자체가 느슨하게 대처하고 있다며 평택시 책임론을 제기하고 나섰다.

16일 현덕면 화양리·운정리 등 화양지구 공사현장 주변 주민들에 따르면 이 같은 생활불편 등이 불거져 나온 때는 지난해 10월이다. 당시 평택시는 화양도시개발조합과 DL건설(시공사) 등으로부터 이에 대한 개선 등의 조치계획을 받았다.

"소음·먼지 시설물 확인 미흡…
적극 개입했다면 고통 없었을것"


조합과 시공사는 '택지지구 부지 경계 내 방진 방음벽 설치' 등의 소음방지 대책과 토공 완료구간 및 성토·절토 구간 분진망 설치 등의 비산먼지 대책 등을 내놨다.

그러면서 공사용 도로 과속 방지턱 설치, 공사현장 주변 마을도로 공사차량 진출입 금지 조치 등과 함께 소음·비산먼지 환경시설물 설치 사진까지 시에 보냈다.

하지만 시는 이 같은 환경피해 예방 조치계획이 공사현장 안과 밖(주변 마을)에서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해야 하는데 이를 방관해 문제가 커졌다는 지적이다.

또한 시는 지난 1월 '덤프트럭이 마을도로를 질주, 소음이 심하고 안전을 위협받고 있다'는 주민 전화에 대해 현장 확인 없이 '소음 자제토록 화양지구에 요청' 등 소극적으로 대응해 빈축을 사고 있다.

주민들은 "지난해 시가 적극 개입해 민원을 해소했다면 주민들이 1년여 넘게 환경문제로 고통을 받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시는 어디에 있고 누구를 위해 일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주민 B(63)씨는 "약속을 지키지 않는 조합과 건설업체 측도 신뢰할 수 없지만 1년여 넘게 주민 고통을 외면하는 평택시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 시는 우리를 버렸다"고 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