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민선 7기에서 화장장 설치로 내홍을 겪은 양평군이 장사시설 수급계획을 다시 검토한다. 주민 반대로 화장장이 무산됐던 만큼 설문을 통해 갈등 원인을 파악, 제로 베이스에서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21일 양평군에 따르면 군은 이달 내 '장사시설 지역수급계획을 위한 군민 설문 조사'를 진행한다. 성인 거주민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방식으로 진행되며 설문 문항으로는 ▲군민의 장사방법에 관한 인식 ▲향후 5년간 장사 정책에 대한 의견수렴 ▲장사시설 설치에 관련된 갈등 원인 파악 등이다.
21일 양평군에 따르면 군은 이달 내 '장사시설 지역수급계획을 위한 군민 설문 조사'를 진행한다. 성인 거주민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방식으로 진행되며 설문 문항으로는 ▲군민의 장사방법에 관한 인식 ▲향후 5년간 장사 정책에 대한 의견수렴 ▲장사시설 설치에 관련된 갈등 원인 파악 등이다.
반대로 무산… 계획 원점 재검토
실태조사·사례분석·설문 등 진행
"사업 방향 아직 확정된 것 없어"
군이 장사시설에 대해 공을 들이는 이유는 2020년부터 추진됐던 공설화장장이 주민 반대로 인해 무산됐기 때문이다.
2019년 양평읍 소재 갈월사가 사설화장장을 추진하자 군은 이를 반려하고 이듬해부터 주민공모방식의 공설화장시설을 추진했다. 이후 용문면 삼성2리가 최종후보지로 선정되면서 인근 지역 주민들의 민원과 반대 시위가 빗발치기 시작했고, 삼성2리도 신청했던 부지가 타당성 조사 과정에서 조상 묘소가 밀집된 지역으로 바뀌자 한 달여 만에 공모 철회서를 군에 제출(2021년 4월29일자 8면 보도=양평 공설화장장 무산위기…"행정신뢰 추락")했다.
이후 지역 사회단체와 주민들에 의해 유치 실패 요인이 논의됐는데 ▲60억원의 인센티브가 해당 마을에만 돌아간다는 점 ▲인근 지역주민들에 대한 설명회 및 공청회 미개최 ▲후보지 선정 및 취소과정에서의 관계자 및 군수의 소통 부재 등이 문제점으로 거론됐다.
이 같은 배경 속에서 군은 지난 2월부터 '양평군 장사시설 지역수급계획 수립연구' 용역을 진행 중이다.
약 4개월간 진행되는 용역은 양평군 일반현황, 장사시설 실태조사, 선진 사례분석, 주민의식 조사 이후 지역수급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며 군은 공설화장장 재추진에 대한 여부 또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군 관계자는 "어떤 것이 특정돼서 '이렇게 가겠다'가 아니라 (주민)의견을 우선 물어봐야 된다"며 "아직 확정된 것은 없고 설문을 최종적으로 다듬는 단계"라고 말했다.
한편 군은 현재 양평지역에 화장장이 없어 주민들이 인근 지자체로 이동하는 실정이며 이와 관련 지난해 말 '화장장려금'을 6개월 이상 군에 거주한 전 군민에게 지급하는 것으로 확대했다.
양평/장태복기자 jkb@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