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양시가 6일 카이저공과대학교 설립추진위원회(위원장·이종혁)와 메타버스형 사이버대학인 카이저공과대학 설립 추진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카이저공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를 육성하고 융합형 21세기 혁신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사이버대학으로 오는 2026년 3월 개교 예정이다.
학과는 융합학부 아래 의료·바이오, IT, 신에너지·환경 등으로 이뤄지며 학생 300여 명과 교수 40여 명으로 구성된다.
전공수업은 국내외 대학과 민간 온라인 코스를 선택해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체험학습은 기업 등과 협업해 현장 또는 확장 가상세계(메타버스)에서 이뤄진다.
대학시설은 대학본부와 행정실, 교수연구실, 강의실, 세미나실 등 교육기본시설과 서버 및 통신장비 관리실, 시스템 운영실, 디지털 도서관 등 지원시설이 들어선다.
고양시는 수도권정비계획법상 과밀억제권역이어서 대학을 설립할 수 없으나 사이버대학은 인구집중유발시설의 종류에서 제외돼 설립 가능하다.
이동환 시장은 "작년 11월 경기 북부 최초로 고양시 JDS(장항·대화·송산·송포)지구가 경제자유구역 후보지로 선정됐다"면서 "내년 6월 최종 선정돼 글로벌 첨단산업 기업들이 입주하게 되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를 육성하는 카이저공대와 함께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양/김환기기자 khk@kyeongin.com
카이저공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를 육성하고 융합형 21세기 혁신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사이버대학으로 오는 2026년 3월 개교 예정이다.
학과는 융합학부 아래 의료·바이오, IT, 신에너지·환경 등으로 이뤄지며 학생 300여 명과 교수 40여 명으로 구성된다.
전공수업은 국내외 대학과 민간 온라인 코스를 선택해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체험학습은 기업 등과 협업해 현장 또는 확장 가상세계(메타버스)에서 이뤄진다.
대학시설은 대학본부와 행정실, 교수연구실, 강의실, 세미나실 등 교육기본시설과 서버 및 통신장비 관리실, 시스템 운영실, 디지털 도서관 등 지원시설이 들어선다.
고양시는 수도권정비계획법상 과밀억제권역이어서 대학을 설립할 수 없으나 사이버대학은 인구집중유발시설의 종류에서 제외돼 설립 가능하다.
이동환 시장은 "작년 11월 경기 북부 최초로 고양시 JDS(장항·대화·송산·송포)지구가 경제자유구역 후보지로 선정됐다"면서 "내년 6월 최종 선정돼 글로벌 첨단산업 기업들이 입주하게 되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를 육성하는 카이저공대와 함께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양/김환기기자 kh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