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서울시가 여의도 한강공원 내 신규 선착장 조성을 예고하면서 경인아라뱃길 활용방안에 다시금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김주영 국회의원이 11일 김포 아라마리나 활성화를 모색하는 토론회를 개최했다. 아라마리나는 한강과 아라뱃길을 잇는 관문으로, 김 의원의 지역구에 위치한다.
이날 토론에는 김주영 의원을 좌장으로 정우철 인하공업전문대학 해양레저센터장(조선기계공학과 교수)이 발제를 맡았으며, 조인환 김포시 요트협회 회장·김정경 한국수자원공사 아라뱃길지사장·김충환 경기도 해양수산과 전문위원·김정민 환경부 수자원관리과 사무관·김상국 해양수산부 해양레저관광과 사무관이 패널로 참여했다.
"아라마리나 지역특색 반영한 현실적방안 시급"
보트 육상계류시설 확충, 쇼핑몰 연계 등 제안
수중·수상레저 포괄하는 기본법 필요성 지적도
김주영 "특별법 대표발의…조속한 통과에 노력"
김주영 의원은 해양레저스포츠 및 수상관광 콘텐츠 발굴 등 아라마리나를 특화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토론회를 추진했다.
모두발언에서 그는 "제 꿈은 김포 아라마리나를 전호산·백마도와 연계한 관광벨트로 발전시켜 김포·서울·인천, 나아가 한국·중국·일본의 국제적 해양관광 랜드마크로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발제에 나선 정우철 센터장은 국내외 해양레저 동향을 분석하는 한편, 아라마리나 지역 특색을 반영한 현실적인 활성화 방안 마련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정 센터장은 아라마리나 활성화 방안으로 '수도권 시민의 휴식처로서의 발전', '환경문제 및 각종 규제 재점검', '소형보트 육상계류시설 확충', '쇼핑몰과의 연계 강화' 등을 제안했다.
김충환 전문위원은 "해양레저와 관련해서는 '해양레저육성에 관한 기본법' 같은 모법이 없어서 수상·수중레저 등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기본법 제정이 필요하다"며 "아라마리나 인근에 해양레저 교육관련기관 등 공공기관 유치가 병행된다면 더 좋을 것"이라는 의견을 냈다.
또한 정부 측 토론자인 환경부·해양수산부 관계자들도 해양레저산업 활성화의 필요성에 공감을 표하며 아라마리나가 해양레저장비 대여·구매·수리 등 모든 레저요소를 원스톱으로 해결하는 공간으로 거듭나도록 부처 간 머리를 맞대겠다고 밝혔다.
이 밖에 자유토론에서는 아라마리나 접근성 개선, 요트 체험·교육 시설 도입, 낚시 등 다른 활동과의 연계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졌다.
끝으로 김주영 의원은 "아라마리나는 해양레저관광거점으로 잠재력이 높은데도 많은 규제 때문에 활성화에 제약이 있다"면서 "중첩규제를 해제하고 실질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지난해 해양레저특구 관련 특별법을 대표발의했는데 조속한 통과에 노력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이날 토론에는 김주영 의원을 좌장으로 정우철 인하공업전문대학 해양레저센터장(조선기계공학과 교수)이 발제를 맡았으며, 조인환 김포시 요트협회 회장·김정경 한국수자원공사 아라뱃길지사장·김충환 경기도 해양수산과 전문위원·김정민 환경부 수자원관리과 사무관·김상국 해양수산부 해양레저관광과 사무관이 패널로 참여했다.
"아라마리나 지역특색 반영한 현실적방안 시급"
보트 육상계류시설 확충, 쇼핑몰 연계 등 제안
수중·수상레저 포괄하는 기본법 필요성 지적도
김주영 "특별법 대표발의…조속한 통과에 노력"
김주영 의원은 해양레저스포츠 및 수상관광 콘텐츠 발굴 등 아라마리나를 특화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토론회를 추진했다.
모두발언에서 그는 "제 꿈은 김포 아라마리나를 전호산·백마도와 연계한 관광벨트로 발전시켜 김포·서울·인천, 나아가 한국·중국·일본의 국제적 해양관광 랜드마크로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발제에 나선 정우철 센터장은 국내외 해양레저 동향을 분석하는 한편, 아라마리나 지역 특색을 반영한 현실적인 활성화 방안 마련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정 센터장은 아라마리나 활성화 방안으로 '수도권 시민의 휴식처로서의 발전', '환경문제 및 각종 규제 재점검', '소형보트 육상계류시설 확충', '쇼핑몰과의 연계 강화' 등을 제안했다.
김충환 전문위원은 "해양레저와 관련해서는 '해양레저육성에 관한 기본법' 같은 모법이 없어서 수상·수중레저 등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기본법 제정이 필요하다"며 "아라마리나 인근에 해양레저 교육관련기관 등 공공기관 유치가 병행된다면 더 좋을 것"이라는 의견을 냈다.
또한 정부 측 토론자인 환경부·해양수산부 관계자들도 해양레저산업 활성화의 필요성에 공감을 표하며 아라마리나가 해양레저장비 대여·구매·수리 등 모든 레저요소를 원스톱으로 해결하는 공간으로 거듭나도록 부처 간 머리를 맞대겠다고 밝혔다.
이 밖에 자유토론에서는 아라마리나 접근성 개선, 요트 체험·교육 시설 도입, 낚시 등 다른 활동과의 연계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졌다.
끝으로 김주영 의원은 "아라마리나는 해양레저관광거점으로 잠재력이 높은데도 많은 규제 때문에 활성화에 제약이 있다"면서 "중첩규제를 해제하고 실질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지난해 해양레저특구 관련 특별법을 대표발의했는데 조속한 통과에 노력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