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904-0113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입주해 있는 송도국제도시 G타워 전경. /인천경제청 제공

정부가 인천을 포함한 전국 9개 경제자유구역의 혁신생태계 조성 사업에 42억5천만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제134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산업부는 경제자유구역을 지역 발전의 성장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2021년부터 '경제자유구역 혁신생태계 조성사업'을 추진했다. 경제자유구역별로 선정된 9개 혁신성장기관(테크노파크, 산학융합원 등)을 통해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투자유치, 마케팅, 기술사업화, 규제개선 발굴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난해에는 174개 입주기업을 지원했으며, 올해도 관련 예산(42억5천만원)을 투입해 투자 유치와 수출 회복, 지역산업 육성을 위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산업부, 9개 혁신성장기관 지원
제이엔피디, 지난해 140억 유치
한국뉴욕주립대 FIT 보조금 지급


인천경제자유구역에 입주해 있는 (주)제이엔피디(의료플랫폼)는 지난해 11월 혁신생태계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싱가포르 국부펀드 등으로부터 140억원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이와 함께 경제자유구역위원회는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한국뉴욕주립대 FIT(패션디자인스쿨) 준학사 과정의 초기 운영 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보조금(연 4억8천만원)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세계 유수의 교육·연기기관을 경제자유구역에 유치해 해당 지역의 외국인 정주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천 송도국제도시 내에 위치한 인천글로벌캠퍼스(IGC)는 정부와 인천시가 외국대학의 경쟁력 있는 학과들을 한데 모아 종합대학 형태를 이룬 국내 첫 교육모델이다.

2012년 한국뉴욕주립대를 시작으로 2014년 한국조지메이슨대·겐트대(벨기에) 글로벌캠퍼스·유타대 아시아캠퍼스, 2017년 뉴욕패션기술대(FIT)가 차례로 문을 열었다.

경제자유구역위원회 의결을 통해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의 보배복합지구와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의 율촌항만부지 개발사업을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착수하게 됐다. 이들 부지는 그간 인·허가 절차가 지연돼 사업에 차질을 빚어왔다.

또 동해안권경제자유구역의 북평지구와 광주경제자유구역의 스마트에너지산업지구는 원활한 국내외 기업 유치를 위해 산업유치계획(개발계획) 일부를 변경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경제자유구역을 투자·수출의 지역 혁신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각종 지원 사업을 확대 추진할 방침"이라며 "연말까지 개발계획 변경 권한도 경제자유구역청에 대폭 이양해 지방시대에 부응하는 경제자유구역 정책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

2023041401000443300021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