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서치 전문회사 300명 전화 면접
갈등후 철회 재발 않도록 재검토
장사시설에 대한 수요가 매년 꾸준히 늘어가는 가운데 양평군 내 장사시설 설치에 대한 검토가 다시 이뤄지고 있다. 다만, 여러 갈등으로 인해 한 번 무산됐던 만큼 군은 신중히 접근하겠다는 입장이다.
20일 군에 따르면 양평군민을 대상으로 '양평군 장사시설 지역수급계획을 위한 설문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기간은 다음 달 1일까지로, 당초 설문지를 읍·면사무소 등에 비치해 조사하는 방식에서 정확도 및 신뢰도 향상을 위해 리서치 전문회사 조사원이 전화를 통해 조사하는 방식으로 변경됐다.
설문 내용은 주민의 장사방법에 대한 인식 및 향후 장사정책에 대한 의견 수렴 등으로 ▲화장장려금 지급 범위 ▲장사시설 설치와 관련된 갈등 원인 파악 등의 내용을 300명의 성인남녀 거주민을 대상으로 묻는다.
해당 설문조사는 오는 6월까지 진행되는 양평군 장사시설 지역수급계획 수립연구 용역의 일환으로 군내 장사시설 관련 현황 조사 및 검토, 선진 사례분석을 통한 지역수급계획 수립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양평군의 화장률은 2019년 89.6%에서 2020년 90.2%, 2021년엔 92.6%로 매년 늘었다. 그러나 군내 화장시설이 없어 주민의 43.2%는 강원지역, 37.9%는 경기도 내 다른 지역, 11.6%는 서울시 화장시설을 이용하는 이른바 '원정 화장'을 떠났다.
이처럼 장사시설에 대한 수요가 있음에도 군이 화장장 설치에 신중한 까닭은 지난 민선 7기에서 화장장 설치 과정에서의 갈등사례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군은 2019년부터 공설화장장을 주민공모방식으로 추진해 인근 주민과 위치 문제로 갈등을 겪다 결국 설치 계획을 철회했다.
군 노인장애인과 관계자는 "이번 설문에 직접적으로 '화장장 설치에 대해 찬성하느냐 반대하느냐' 등의 문항은 넣지 않았다"며 "일반적인 장사방법에 대한 인식, 최근 논의된 화장장려금에 대한 범위 등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서 질문이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양평/장태복기자 jkb@kyeongin.com
갈등후 철회 재발 않도록 재검토
장사시설에 대한 수요가 매년 꾸준히 늘어가는 가운데 양평군 내 장사시설 설치에 대한 검토가 다시 이뤄지고 있다. 다만, 여러 갈등으로 인해 한 번 무산됐던 만큼 군은 신중히 접근하겠다는 입장이다.
20일 군에 따르면 양평군민을 대상으로 '양평군 장사시설 지역수급계획을 위한 설문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기간은 다음 달 1일까지로, 당초 설문지를 읍·면사무소 등에 비치해 조사하는 방식에서 정확도 및 신뢰도 향상을 위해 리서치 전문회사 조사원이 전화를 통해 조사하는 방식으로 변경됐다.
설문 내용은 주민의 장사방법에 대한 인식 및 향후 장사정책에 대한 의견 수렴 등으로 ▲화장장려금 지급 범위 ▲장사시설 설치와 관련된 갈등 원인 파악 등의 내용을 300명의 성인남녀 거주민을 대상으로 묻는다.
해당 설문조사는 오는 6월까지 진행되는 양평군 장사시설 지역수급계획 수립연구 용역의 일환으로 군내 장사시설 관련 현황 조사 및 검토, 선진 사례분석을 통한 지역수급계획 수립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양평군의 화장률은 2019년 89.6%에서 2020년 90.2%, 2021년엔 92.6%로 매년 늘었다. 그러나 군내 화장시설이 없어 주민의 43.2%는 강원지역, 37.9%는 경기도 내 다른 지역, 11.6%는 서울시 화장시설을 이용하는 이른바 '원정 화장'을 떠났다.
이처럼 장사시설에 대한 수요가 있음에도 군이 화장장 설치에 신중한 까닭은 지난 민선 7기에서 화장장 설치 과정에서의 갈등사례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군은 2019년부터 공설화장장을 주민공모방식으로 추진해 인근 주민과 위치 문제로 갈등을 겪다 결국 설치 계획을 철회했다.
군 노인장애인과 관계자는 "이번 설문에 직접적으로 '화장장 설치에 대해 찬성하느냐 반대하느냐' 등의 문항은 넣지 않았다"며 "일반적인 장사방법에 대한 인식, 최근 논의된 화장장려금에 대한 범위 등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서 질문이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양평/장태복기자 jkb@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