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가 시민의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5개년 계획인 '제1차 부천시 인권보장 및 증진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3일 부천시에 따르면 시의 인권 기본계획 비전은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인권도시, 부천'으로 사회적으로 인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지방자치단체의 인권보장과 증진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했다.
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3대 정책목표를 '함께하는 인권도시', '누구나 체감하는 인권도시', '더불어 누리는 인권도시'로 정했고 11개 추진 방향에는 ▲시민이 주도하는 인권기구 설치 ▲시민참여 인권활동 활성화 ▲의료 공공성 강화 ▲사회적 약자 발굴 ▲마을단위 활동 연계 지원 ▲취약 노동환경 개선 등을 담았다.
또 비전과 정책목표의 구체적 실현을 위한 47개 세부사업을 선정해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시민 인권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 방안도 제시했다.
시는 이번 기본계획을 통해 주도적으로 인권 취약 계층의 인권을 개선하고, 차별 및 인권침해를 해소하기 위한 인권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인권 기본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연도별 이행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성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해 인권정책의 실행력을 한층 더 강화할 계획이다.
조용익 시장은 "인권보장 및 증진 기본계획을 토대로 인권의 가치를 되새기고 인권 존중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힘쓰겠다"며 "인권기본계획이 인권행정을 더욱 단단하게 하고, 부천시 시민들의 인권보장을 위한 든든한 시스템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3일 부천시에 따르면 시의 인권 기본계획 비전은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인권도시, 부천'으로 사회적으로 인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지방자치단체의 인권보장과 증진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했다.
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3대 정책목표를 '함께하는 인권도시', '누구나 체감하는 인권도시', '더불어 누리는 인권도시'로 정했고 11개 추진 방향에는 ▲시민이 주도하는 인권기구 설치 ▲시민참여 인권활동 활성화 ▲의료 공공성 강화 ▲사회적 약자 발굴 ▲마을단위 활동 연계 지원 ▲취약 노동환경 개선 등을 담았다.
또 비전과 정책목표의 구체적 실현을 위한 47개 세부사업을 선정해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시민 인권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 방안도 제시했다.
시는 이번 기본계획을 통해 주도적으로 인권 취약 계층의 인권을 개선하고, 차별 및 인권침해를 해소하기 위한 인권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인권 기본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연도별 이행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성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해 인권정책의 실행력을 한층 더 강화할 계획이다.
조용익 시장은 "인권보장 및 증진 기본계획을 토대로 인권의 가치를 되새기고 인권 존중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힘쓰겠다"며 "인권기본계획이 인권행정을 더욱 단단하게 하고, 부천시 시민들의 인권보장을 위한 든든한 시스템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천/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