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G(환경·사회·기업지배구조) 경영이 시대적 화두이지만 여전히 많은 기업들에겐 난제다. 특히 탄소중립 이행 등은 기업들에게 적지 않은 비용 부담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이른바 3고(高) 상황으로 기업들의 경영난이 심화된 상황 속 ESG 경영 전환에 난처해 하는 기업들이 다수다.
11일 미래사회포럼 강연자로 나선 김헌수 전략인재연구원 원장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기후 위기 등 환경문제가 심각하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이와 맞물린 ESG 경영이 시대적 화두로 자리잡은 배경을 설명했다.
이날 '탄소중립시대, 기업의 생존조건 ESG'를 주제로 강연한 김 원장은 국내 최초로 인하대학교에서 다문화교육학 박사를 취득한 인사이기도 하다. 현재 미국 뷸라하이츠대학교 제주캠퍼스의 리더십 책임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김 원장은 ESG 경영이 기업의 가치를 제고하는 데도 중요하지만, 세계 경제시장에서 기업 활동을 이어가는데 있어서도 필수적인 요인이 됐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ESG 경영의 축을 이루는 환경, 사회공헌, 기업 지배구조 개선 방안을 설명하는 한편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ESG 경영 전략을 제시했다. ESG 경영을 소홀히 해 실패한 사례 등도 함께 거론했다.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등 ESG 개념이 부상하기 전 주목받았던 개념과의 차이점도 알기 쉽게 풀이했다.
김 원장은 "결국 ESG 경영은 경제나 사회가 환경을 훼손시키면 영속할 수 없다는 점과 맞닿아있다. 기업뿐 아니라 기관에서도 생존 조건으로서 ESG가 부상한 상황임을 인지하고 전략 마련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밝혔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