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5.jpg
17일 광명시 광명사거리에 설치된 정당 지정 게시대(오른쪽 빨간선 안)는 빈 채로 있고, 바로 옆 건널목 신호등(왼쪽 빨간선 안)에는 지역 정치인들의 현수막이 무분별하게 내걸려 있어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2023.5.17 광명/문성호기자 moon23@kyeongin.com

전국 지방자치단체마다 정당현수막의 무분별한 난립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가운데 광명시에서 설치한 정당현수막 지정 게시대는 오히려 외면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광명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12월부터 국회의원 등 정치인들의 무분별한 현수막 난립으로 도시미관을 해치는 것을 막기 위해 국회의원 선거구를 기준으로 갑구 4개, 을구 4개 등 총 8개의 정당현수막 지정 게시대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광명시, 8곳 지정게시대 운영하지만
올초 무제한 허용 이후 무분별 게시
시 "단속·강제 못해… 양당 협조를"

이들 정당현수막 지정 게시대는 대부분 지하철 인근 등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행정용 지정 게시대와 같은 형태로 인도 경계석에 설치돼 있다.

지난 연말과 연초 잠깐 정당 현수막이 게시되기도 했었지만 올 초부터 정당현수막이 무제한 허용되자 여·야 정치인들은 정당현수막 지정 게시대를 외면한 채 건널목 신호등 주변으로 무분별하게 현수막을 내걸고 있다.

정당현수막 지정 게시대가 인도 경계석에 설치돼있는 데다 게시할 수 있는 현수막의 크기도 4m 내외로, 정치인들이 주로 게시하는 6~7m짜리 현수막보다 작아 상대적으로 눈에 잘 띄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정치인들이 정당현수막 지정 게시대를 이용하지 않아 비어 있더라도 게시대의 용도가 지정돼있는 만큼 행정용 현수막이나 경찰서 교통안내 현수막 등 다른 공공기관의 현수막조차 게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정당 현수막 지정 게시대 인근에는 무분별하게 정당 현수막을 걸지 못하게 제한하거나 아예 정당현수막 지정 게시대를 폐지하고 공공용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시 관계자는 "도시경관을 해치지 않게 정당 지정 게시대를 설치했지만, 정당현수막이 허용된 이후 무분별하게 내걸리는 정치인 현수막을 단속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회와 국민의힘 당원협의회에 정당 현수막 지정 게시대를 이용하라고 강제도 못 한다"며 "양당에서 시민들의 불편이 없도록 현수막을 게시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광명/문성호기자 moon2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