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jpg
부천시청 전경 /부천시 제공

부천시의 숙원인 '광역동제 폐지, 일반구 전환'이 마침내 이뤄졌다.

행정안전부는 부천시가 요청한 자치구가 아닌 구(일반구) 3개(원미·소사·오정) 설치를 승인했다고 21일 밝혔다.

이에 앞으로의 시 행정체제는 '3개 일반구·36개 행정동'으로 전환된다.

앞서 시는 기존 '일반구 3개' 체제를 2016년 원미·소사·오정구청을 없애고 '10개 책임동·26개 일반동' 체제로 운영하다가 2019년부터 '10개 광역동 체제'로 통폐합했다.

그러나 지역주민들은 거주지에서 먼 광역동을 찾아 행정서비스를 받아야 할 뿐 아니라 민원 처리 기간도 늘어나 시를 향해 불편 민원을 제기해왔다. 지역사회보장협의체·주민자치회 등 동 단위 주민단체가 축소되면서 민·관 소통이 약화했다는 평가도 잇따랐다.

'3개 일반구·36개 행정동'으로 바뀔 예정
그동안 먼거리 이동·행정 처리 기간 늘어
소방서 등 유관 기관 협력체계 구축 계획

이에 시는 시민 의견 수렴과 지난해 12월 시의회 의결을 거쳐 행안부에 3개 일반구 설치 승인을 요청했다.

행안부 승인으로 시는 조례로 일반구를 다시 둘 수 있게 됐다. 현행 지방자치법은 인구 50만명 이상 시에는 행안부의 승인을 통해 일반구를 둘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다.

시는 행안부와의 협의를 토대로 3개 일반구와 36개 행정동에 각각 스마트·복지·안전 기능을 현장 중심으로 배분한 새로운 구·동 행정 모델을 구현할 계획이다.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소방서·경찰서 등 유관 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동 단위 통장·자율방재단·의용소방대 등과 지역안전협의체를 운영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부천시 행정체제 전환은 주민 다수가 일반구 설치를 요청한 것을 고려했다"며 "일반구 설치에 따른 인건비와 건설비를 절감하도록 해 소요되는 행정비용을 최소화했다"고 말했다.

행안부는 또 시의 별도 인력 충원 없이 4급 직위를 22개에서 13개로 축소하고 5급으로 전환해 인건비를 절감했으며, 기존 청사를 리모델링 하는 등 재활용으로 건설비용을 줄였다고 설명했다.

조용익 시장은 22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일반구 전환 승인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이날 예정된 기자회견에서는 조 시장이 3개구·36개 일반동 전환을 위한 그동안의 경위와 향후 계획 등을 설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천/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