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의회_안성시의회_제공.jpg
안성시의회 전경. /안성시의회 제공
 

안성시의회 여야 의원들이 의회 파행을 놓고 각각 입장문과 기자회견을 통해 '책임공방'을 벌이고 있다.

의회는 지난 9~19일 제213회 임시회를 갖고 12건의 조례안과 3건의 의견 청취, 1천37억원에 달하는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 등을 심의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개회 후 보훈수당 예산 편성 문제 등을 놓고 집행부와 야당인 국민의힘 의원 간 마찰을 시작으로 조례안(12건) 일괄 부결, 그에 따른 반발 등으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천막 및 단식 농성에 들어가면서 의사일정을 제대로 진행하지 못한 채 지난 19일 폐회했다.

다만 이번 임시회에서는 수십년 간 불합리한 규제로 지역발전의 족쇄로 작용했던 '유천·송탄상수원보호구역 해제 촉구 결의안'을 여야 전원 발의 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후 여야 의원들은 이번 임시회 파행 종료에 대한 책임을 놓고 여론전을 펼치고 있다.

국힘 "대회 시도… 3개 사안 수용"
민주 "시장-의장 합의 안받아들여"

먼저 국민의힘 의원들은 지난 20일 '대화결렬에 대한 국힘 의원들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의회 파행을 방치할 수 없어 지난 19일 민주당 의원들과 대화를 통한 의회 정상화를 시도하며 농성장까지 방문해 의회 복귀를 설득했다"며 "이 자리에서 민주당 의원들이 제시한 6개 사안 중 3개 사안을 받아들여 합의가 이뤄지는 듯 했으나 요구안에 없었던 내용을 추가, 요구안을 변경하면서 합의점을 찾지 못한만큼 대화결렬 책임은 온전히 민주당에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민주당 의원들은 21일 농성장에서 반박 기자회견을 가졌다.

민주당 의원들은 "국힘 의원들은 당초 6개 사안 중 3개 사안을 수용했지만 그것은 매우 상식적인 것으로 우리가 그 안을 수용할 수 없었던 것은 천막 및 단식 농성을 시작한 후 김보라 시장과 안정렬 의장이 만나 합의한 내용을 국민의힘 의원들이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국민의힘 의원들은 어떻게든 우리의 농성을 중단시키려는 의도만 있었을 뿐 변화하겠다는 의지는 없었다"고 반박했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