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중·고등학교의 올해 신입생 교복 평균 낙찰가가 50% 넘게 차이가 발생하는 등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일부 시·군의 경우 같은 가격으로 낙찰된 사례가 4분의 3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되면서 가격담합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30일 광명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광명경실련)이 도내 31개 시·군의 1천160개교의 무상교복지원사업 자료를 확보해 분석한 결과, 동·하복 등 6종 세트(부속품 포함)의 평균낙찰가는 광명시가 30만7천909원으로, 도내 평균 낙찰가(27만9천272원)보다 2만8천637원(10.3%)이 높았다.
30일 광명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광명경실련)이 도내 31개 시·군의 1천160개교의 무상교복지원사업 자료를 확보해 분석한 결과, 동·하복 등 6종 세트(부속품 포함)의 평균낙찰가는 광명시가 30만7천909원으로, 도내 평균 낙찰가(27만9천272원)보다 2만8천637원(10.3%)이 높았다.
'최저' 의정부 비교하면 11만원 차이
무상교복업체 '세트 구매' 강제성 불편
중소기업 줄어 대기업 독과점 심화도
광명경실련, 자료 분석 도교육청에 답변 요구
특히, 평균 낙찰가가 가장 낮은 의정부시(19만4천981원)와 비교하면 11만2천928원(57.9%)이 비쌌다.
또한 광명시는 중·고등학교 22개교 중 17개교(77%)의 낙찰가가 30만9천원으로 같았는데, 이는 광명시와 가평군(67%)을 제외한 29개 시·군의 동일 낙찰가 비중이 8~35%에 머무른 것과 비교하면 교복업체의 가격담합 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중소 교복업체의 폐업으로 대기업 교복업체의 독과점이 심해진 것도 한몫 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무상교복지원금(30만원)은 경기도교육청(50%), 경기도(25%), 시·군(25%)의 비율로 부담해 현물(교복)로 제공되면서 학생·학부모가 원하는 품목이 아닌 업체가 제시하는 세트로 구매해야 하는 등 업체 편의 중심적으로 교복가격이 책정되고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광명경실련은 교복 가격담합 의혹에 대한 도교육청의 답변을 요구하는 한편, 교복 업체 중심이 아닌 학생·학부모가 원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광명경실련 관계자는 "교복값 관련해 담합 의혹을 지울 수 없는 만큼 관리·감독에 대한 책임과 함께 교복값 담합에 대한 법적 대응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광명시는 중·고등학교 22개교 중 17개교(77%)의 낙찰가가 30만9천원으로 같았는데, 이는 광명시와 가평군(67%)을 제외한 29개 시·군의 동일 낙찰가 비중이 8~35%에 머무른 것과 비교하면 교복업체의 가격담합 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중소 교복업체의 폐업으로 대기업 교복업체의 독과점이 심해진 것도 한몫 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무상교복지원금(30만원)은 경기도교육청(50%), 경기도(25%), 시·군(25%)의 비율로 부담해 현물(교복)로 제공되면서 학생·학부모가 원하는 품목이 아닌 업체가 제시하는 세트로 구매해야 하는 등 업체 편의 중심적으로 교복가격이 책정되고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광명경실련은 교복 가격담합 의혹에 대한 도교육청의 답변을 요구하는 한편, 교복 업체 중심이 아닌 학생·학부모가 원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광명경실련 관계자는 "교복값 관련해 담합 의혹을 지울 수 없는 만큼 관리·감독에 대한 책임과 함께 교복값 담합에 대한 법적 대응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광명/문성호기자 moon23@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