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용-반도체-부족…기아자동차-광명2공장-휴업-(1).jpg
사진은 기아차 광명공장 전경. /경인일보DB

광명시가 기아와 함께 기아 오토랜드 광명공장의 첨단투자지구 지정을 추진한다.

8일 광명시에 따르면 시는 기아 오토랜드 광명공장의 전기차 전용 공장 전환을 지원하고 관련 규제 완화를 위해 지난 1월부터 본격적으로 기아와 협의해왔다.

경기도·광명시·기아가 협력해 첨단투자지구 지정을 추진하는 것은 기아 오토랜드 광명공장이 지속가능한 미래차 생산기지로서 추가적인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첨단투자지구는 산업통상자원부가 국내외 기업의 첨단산업 투자 확대와 공급망 안정을 위해 맞춤형 인센티브 및 규제 특례를 제공하는 제도로, 기아 오토랜드 광명공장이 첨단투자지구로 지정될 경우, 각종 규제 완화를 비롯해 추가적인 첨단투자를 유도해 글로벌 생산기지로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센티브·규제 특례 제공 제도
정부, 전기차 정책지원 강화 나서
심의 후 6월 하순 지정 여부 결정

2023060801000286700013001.jpg
광명 전기차 공장 배치도(안). /광명시 제공

기아 오토랜드 광명은 1973년 공장 가동 이후 약 50년간 가동한 국내 최초의 종합 완성차 제조공장에도 불구하고 공장 착공 이후 개발제한구역 지정 및 수도권 규제란 중첩규제 속에서 글로벌 시장변화 대응에 많은 제약을 받아왔다.

광명시 관계자는 "광명공장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전기차 생산을 위한 대규모 투자계획을 검토했으나 그린벨트와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규제로 당초 투자계획보다 대폭 축소된 규모로 추진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지난 3월 여야 합의로 전기차를 비롯한 미래형 이동수단을 국가전략기술에 포함하는 내용의 관련 법률을 통과시킨 데 이어 정부도 관련 법률의 시행령 개정을 통해 미래형 이동 수단 분야 관련 기술과 시설을 국가전략기술 시설에 추가하는 등 정부와 국회가 전기차 전환에 필요한 정책지원 강화에 나서면서 기아 오토랜드 광명공장의 첨단투자지구 지정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기아는 첨단투자지구 지정에 필요한 산업부의 '첨단기술·제품' 인증을 산업부에 직접 신청했고, 결과가 6월 중순에 나오면 산업부 첨단투자지구 심의를 통해 6월 하순에 최종 지구 지정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박승원 시장은 "미국, 유럽연합(EU) 등이 각종 법안을 통해 자국 전기차 산업을 육성하는 것처럼 우리도 중앙정부, 지방정부, 기업이 '원팀'이 돼 움직여야 '글로벌 미래차 3강 도약'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명/문성호기자 moon2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