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매립지의 생활쓰레기 매립 금지를 앞두고 적정 후보지를 찾지 못했던 고양시의 '자체 소각장 건립'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고양시는 폐기물처리시설과 연계한 자원그린에너지파크(소각장) 후보지를 공모한 결과, 13곳이 신청했다고 13일 밝혔다.
시는 그동안 연간 배출 쓰레기 11만2천여 t 가운데 6만7천여 t을 수도권매립지로 보내고 나머지는 일산동구에 위치한 열병합발전소에서 처리해왔다.
100억대 테마파크 조성 등 혜택
신청 자격요건 대폭 완화 진행
접근성 등 고려… 내년 4월 확정
하지만 오는 2026년부터 쓰레기 외부 반출이 금지되면서 시는 514억원을 투입, 새로운 자체 소각장을 친환경시설로 건립하고 100억원 규모의 테마파크를 조성키로 했다.
또 쓰레기 반입 수수료의 20%는 지역 복지기금으로 편입해 주민들의 냉·난방비와 통학버스비 등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새로운 시설은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거의 완벽하게 걸러져 테마파크가 주민들의 놀이공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 시는 지난해 7월부터 올해 1월까지 두 차례 소각장 공모를 진행했지만 구비서류 미비와 응모자격 요건 미충족 등으로 후보지를 선정하지 못했다.
이에 시는 토지 소유자 매각동의율 50% 이상만 넘기면 신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신청 자격요건을 대폭 완화해 지난 5월3일부터 지난 7일까지 3차 공모를 진행했다.
그 결과 13개 지역이 참여한 가운데 지난 12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제2차 자원그린에너지파크 입지 선정위원회를 열고 후보지의 소재지 및 토지이용계획 등을 검토했다.
이날 입지선정위는 위원장을 선출하고 법에서 정한 전문기관에서 입지 타당성 조사를 하기로 의결했다.
시는 신청 후보지를 대상으로 접근성과 인접지역 주민 호응도, 토지이용계획, 입지선정위원회 의견 등을 반영해 내년 4월에 적격지를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오는 7월6일 자원그린에너지파크 공청회를 열고 복합인프라 사업계획 등을 제시, 주민 의견 등을 폭넓게 고려해 최종 입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고양/김환기기자 kh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