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와 부천교육지원청이 수년째 추진해 온 학교시설 개방이 주민의 기대에 못 미치는 성과를 보이면서 지역 내 공동 상생 기조가 '헛구호'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13일 부천시 등에 따르면 주차장과 체육관, 운동장에 대한 학교시설 개방을 2016년부터 추진하고 있지만 지역 내 125개교의 주차장과 체육관 등 시설 개방률은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도심 주차난 해소를 목표로 추진된 주차장 개방의 경우 이를 보유한 123개교 중 65개교(53%)만이 동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부 시간대만 개방하는 부분 개방까지 포함한 수치다.
지역주민들의 건강 및 여가 생활 증진을 위한 체육관 개방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13일 부천시 등에 따르면 주차장과 체육관, 운동장에 대한 학교시설 개방을 2016년부터 추진하고 있지만 지역 내 125개교의 주차장과 체육관 등 시설 개방률은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도심 주차난 해소를 목표로 추진된 주차장 개방의 경우 이를 보유한 123개교 중 65개교(53%)만이 동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부 시간대만 개방하는 부분 개방까지 포함한 수치다.
지역주민들의 건강 및 여가 생활 증진을 위한 체육관 개방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市·교육지원청, 지역 125곳 참여
주차장 53%·체육관 48%에 불과
안전문제·관리 인력 걸림돌 작용
주차장 53%·체육관 48%에 불과
안전문제·관리 인력 걸림돌 작용
체육관을 보유한 110개교 중 53개교(48%)만이 주민에게 체육 공간을 개방 중이다. 운동장의 경우 120개교 중 89개교가 동참해 74%의 개방율을 보이고 있지만 이마저도 생활체육 동호회나 단체에 제한적으로 문을 연 학교가 적지 않아 주민 체감도가 떨어진다는 비판이 나온다.
주민 박모(49)씨는 "학교 주차장 개방을 통해 지역 내 주차난 등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전면 개방이 아닌 제한된 개방으로 체감은 크지 않다"면서 "주민의 기대가 꺾이지 않도록 관계 기관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앞서 2016년 학교시설 개방에 나선 시는 2019년 3월 경기도교육청, 부천교육지원청 등과 '학교시설 개방 협약(MOU)'을 맺었다.
당시 124개 초·중·고교 중 121개교가 학교 주차장, 체육관, 운동장 등을 주민과 공유하기로 뜻을 모았지만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는 셈이다. 현재 시와 시설 개방을 약속하고 실무협약을 체결한 학교는 주차장 13개교, 운동장 14개교, 체육관 7개교 등 총 17개교뿐이다.
'학교 장의 결정'을 명시한 현행 초·중등교육법 등과 외부인 출입에 따른 안전문제, 관리인력의 한계 등이 걸림돌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성운 시의회 의장이 지난 4월 열린 임시회 개회사에서 "아직도 시와 협약한 학교시설 개방률이 13%에 그치는 저조한 실적"이라고 질타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설개방은 학교장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지만 시설 개방 및 운영 책임에 따른 학교장의 부담이 소극적 태도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시는 실무협의를 통해 학교 측의 부담을 낮추고, 지원을 늘리는 방안을 모색해 보다 많은 학교의 동참을 이끌어 낼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부천교육지원청 관계자는 "코로나19 종식 이후 학교장들의 협조로 시설을 개방하는 학교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라며 "최근에는 오히려 시설 개방에 따른 소음 문제 등이 불거져 이를 보완할 대책 수립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반박했다.
부천/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