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1301000465800021371.jpg
광명시는 지난 12일 평생학습원에서 2023 광명시 환경교육위원회 회의를 개최했다. 2023.6.12 /광명시 제공

광명시가 '2050 광명시 탄소중립도시' 선포와 함께 환경친화적 도시 조성을 위해 환경교육도시에 도전한다.

시는 오는 7월 환경부의 환경교육도시 지정 공모에 참여할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환경교육도시는 2022년 1월 시행된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환경교육 기반, 협력, 교육 서비스 제공 등 환경교육 활성화 여건이 우수한 지역을 환경부가 지정해 지원하는 제도다.

환경교육도시로 지정되면 3년 동안 환경부로부터 환경교육 내용 개발 및 보급, 지역특화 환경교육과정 운영 등 분야에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시가 환경교육도시 지정에 나선 것은 환경교육을 통해 시민들의 환경 대응력을 키워 환경문제 해결 기반을 조성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이는 기후 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등 환경문제 해결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민들의 참여와 평생교육을 통해 '시민력' 향상을 꾸준히 추진해온 것과 맥을 같이 한다.

특히, 2022년 1월부터 환경교육도시 민관추진단을 운영 중인 시는 지난해 환경교육 활성화 조례를 제정, 환경교육 전담 부서 설치, 환경교육센터 운영(예정), 환경교육 5개년 계획 추진 등 환경교육 기반을 갖춘 상태다.

또한 12월 광명시의회, 광명교육지원청, 시민들과 함께 '환경교육도시 선포식'을 개최한 데 이어 지난 4월에는 환경교육 정보공유 및 협력사업 발굴 등 교류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한국환경연구원(KEI)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환경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도시로 자리매김하고 탄소중립 실천을 범시민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다음 달 6일 시민 4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명극장에서 '2050 광명시 탄소중립도시 선포식'을 가진다.

이날 시는 선포식에서 탄소중립도시 로드맵을 담은 탄소중립도시 비전을 발표하고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의로운 시민을 뜻하는 '1.5℃ 기후의병 운동'을 체계화하는 방안도 발표할 방침이다.

박승원 시장은 "광명시민이 자치력과 시민력을 기를 수 있었던 키워드는 바로 평생학습의 힘"이라며 "시민 주도의 다양한 환경교육을 통해 시민의 역량을 키우고, 이를 바탕으로 민관이 서로 협동하고 연대해야 환경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시는 12일 '환경교육위원회'를 개최하고 환경교육도시 지정 추진을 비롯해 2023년 환경교육 분야 주요 사업계획을 점검했다. 

광명/문성호기자 moon2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