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포시가 내년도 국·도비 확보를 위해 발 빠르게 행정력을 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시 승격 이후 불과 25년 만에 50만 대도시에 진입하는 등 도시화 속도가 타 시·군보다 월등한 상황에서 정부의 행정·재정적 지원폭을 넓히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정부와 유기적인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7월부터 시 대외협력관을 세종시에서 근무토록 한 게 대표적이다.
중앙부처 상대 실무경험이 많은 김병수 김포시장이 때로 정부와 직접 협의에 나서기도 하는 등 모든 공무원이 수동적 업무관행을 벗어나려 노력 중이며, 부서마다 정부 공모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김포는 비슷한 규모 지자체와 비교해 재정자립도나 채무관리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특별한 세입기반 등 재원을 조달할 방법이 아직 마땅치 않아 정부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최근 5년간 일반회계 예산편성 및 결산규모 신장률도 정체일로라 국·도비 확보가 절실하다.
김병수 시장, 직접 협의 노력
내달 대외협력관 세종시 파견
"국회의원실 협조 요청할 것"
이에 시는 민선 8기 들어 국·도비 확보를 위해 전방위로 뛰었고, 그 결과 지난해 말 각 중앙부처로부터 국비 480건, 총 4천300억여원을 확보했다.
시는 내년도 국비 또한 494건 4천996억원을 신청했으며 현재 소관 부처별 검토가 진행 중이다.
신청 내용을 보면 전국 공통사항이 많은 보건·복지분야가 207건 3천765억원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김포골드라인 전동차 증차사업을 포함한 '특수상황지역 개발사업비'도 337억원이나 요청해 놓았다. 공공형버스 지원과 저상버스·특별교통수단 도입 등에 쓰일 33억원도 주목된다.
이 외에도 환경(543억원)·농축수산(122억원)·문화·관광(47억원) 등 시민들의 일상 전반에 필요한 국비가 다수 신청돼 있다.
김병수 시장은 "지역 현안사업이 누락되지 않도록 중앙부처와 끊임없이 소통하고, 지역 국회의원실에도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