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2601000967100045351.jpg
구리시청 전경 . /구리시 제공

구리시 부시장 공백 사태가 1년간 지속되는 등 장기화(2월26일 인터넷 보도 구리시 부시장 인사 '장기화 조짐'… 경기도와 합의점 못 찾아)되면서 지역 현안이자 골칫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경기주택도시공사(GH) 구리 이전, 한강변 도시개발 사업 등 굵직한 사업들의 효율적 추진에 걸림돌이 된다는 주장들이 나오는 가운데 하반기엔 부시장 인사가 이뤄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26일 구리시에 따르면 앞서 시는 지난해 민선 8기 출범과 동시에 경기도의 부시장 인사를 거부하고 '지방분권법'과 '지방자치법'을 근거로 자체 공개채용을 추진했다. 시의 혁신적인 성장 발판을 마련해 대전환을 이루기 위해선 '도시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인물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사태 장기화 속 '7월 정기인사' 관심
시의회 "부시장 공백, 현안 추진 걸림돌"
시 "영향 없어, 하반기 인사에 낙관적"


하지만 이에 대해 경기도는 '근거가 없다'며 불가 입장을 통보한 데 이어 행정안전부와 법제처조차도 '구리시가 법 조문을 잘못 해석했다'며 제동을 걸면서 사태가 촉발했다. 이후 시는 경기도가 부단체장을 시·군에 보내는 일방 교류가 아닌, 1대 1 교류 방식의 '쌍방 인사교류'를 추진하며 관련 공문을 도에 발송한 상태다.

그러던 사이 부시장 공백 사태가 1년간 지속되면서 굵직한 사업을 앞둔 시를 향한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구리시의회 신동화 의원은 최근 정례회의 시정질문을 통해 "현안이 산더미 같이 쌓였는데 부시장 공백이 길어도 너무 길다"며 "GH 구리 이전,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B노선 갈매역 정차, 구리 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 등 도와 조율해야 할 사업들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선 부시장 임명을 더욱 늦출 수 없다. 확실한 해결 방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하지만 이 같은 우려와 달리 시는 이번 사태로 인한 행정 공백 여파가 크지 않다고 진단하면서 당장 다음 달 예정된 7월 정기인사 등 하반기 인사를 낙관하는 분위기다.

시 인사조직부서 담당자는 "부시장이 위원장으로 있는 위원회에선 운영이 어려울 수 있지만, 각 실무부서에서 (공백 사태로 인한) 부작용 등 큰 영향은 없다"면서 "현재 경기도와 소통하며 쌍방 인사교류 협의를 진행, 추천인사를 받으며 전문성을 갖춘 적임자를 물색하고 있다. 특히 7월 정기 인사 때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이번 일을 두고 관행을 당연시하는 시선이 있는데 앞서 개방형 공모는 지방자치법 해석에 따라 추진했고, 이번 인사교류 요청도 규정에 맞게 원칙적인 부분을 요청했다"며 "경기도 역시 반감이 아닌 시 입장을 존중하며 적합한 인사 찾기에 도움을 주고 있다. 아직 적임자 매칭이 되지 않아 공석이 길어지고 있는데 계속 교류하며 소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구리/하지은기자 z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