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보고서 한산한 수산시장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최종 보고서가 발표된 4일 오후 수원 농산물도매시장 수산동에서 상인이 손님을 기다리고 있다. 이날 IAEA는 보고서를 통해 일본 측의 방류 계획이 국제 안전기준에 부합한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2023.7.4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후쿠시마 제1원전의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해양 방류 계획에 대해 국제안전기준에 부합한다고 평가했다.

지난 2021년 4월 일본 정부가 방류 계획 발표와 함께 IAEA에 안전성 검토를 요청해온 지 2년3개월여 만에 나온 결론이다.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4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를 만나 이 같은 결론이 담긴 종합 보고서를 전달했다.

그는 일본 현지 기자회견에서 "2년간에 걸쳐 평가를 했다"며 "적합성은 확실하다. 기술적 관점에서 신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과학적으로 답을 낸 것이라고도 말했다.

IAEA, 일본에 종합보고서 전달
"2년간 걸쳐 평가… 적합성 확실
인체·환경에 미치는 영향 미미"


IAEA는 별도의 보도자료를 내고 "현재 도쿄전력이 계획하고 평가한 바와 같이 오염수를 통제하고 점진적으로 바다에 방류할 경우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방사능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IAEA 방류단계에서도 안전성 검토를 계속할 것이며 이를 위해 지속해서 현장에 상주하겠다는 입장과 함께, 웹사이트를 통해 방류시설에 대한 실시간 온라인 모니터링 내용을 공개할 계획이라는 점도 덧붙였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오는 7일까지 일본에 체류한 뒤 7∼9일 2박3일 일정으로 한국도 방문할 예정이어서, IAEA가 한국에서 내놓을 메시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우리 정치권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여당은 결과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야권은 보고서 검증을 벼르고 나섰다.

한편 후쿠시마 제1원전의 오염수 해양 방류 준비도 일본 정부의 최종 결정이 이뤄지면, 이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 정부는 아직 구체적인 방류 시점을 밝히고 있지 않지만, 연내 방류를 강행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피력해왔다.

이미 오염수 방류를 위한 약 1㎞ 길이의 해저터널 공사는 지난달 마친 상태다. 국내외 반발을 고려해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적절한 방류 개시 시점을 결정하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 관련기사 2면(與 "선전선동은 국제 망신"- 野 "과학적 검증 돌입")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