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0501000189200008712.jpg
현재 용인시에는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 용인환경센터(왼쪽)와 수지구 풍덕천2동 수지환경센터(오른쪽) 등 두 곳의 폐기물 소각장이 운영 중이다. /용인시 제공

용인시가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된 폐기물 처리시설(쓰레기 소각장) 건립을 재추진, 1년 내 입지 선정을 마무리하겠다고 밝혀 귀추가 주목된다.

5일 시에 따르면 현재 관내 하루 최대 300t을 소각할 수 있는 용인환경센터(처인구 포곡읍 금어리)와 70t을 소각할 수 있는 수지환경센터(수지구 풍덕천2동) 등 두 곳의 소각장이 운영 중이다.

하지만 연간 시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15만t에 달한다. 하루 평균 400t이 넘는 규모다. 이마저도 기존 시설 노후화로 가동률이 떨어져 하루 평균 70t가량을 외부에 위탁해 처리하고 있다.

더욱이 관련법 개정으로 오는 2026년부터는 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돼 시는 소각장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앞서 시는 지난해 11월 소각장 건립에 관한 공모를 통해 각 마을로부터 유치 신청을 받았다. 기피시설인 점을 고려해 해당 마을과 거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지원책을 내걸었고 실제 모현읍 초부리와 이동읍 덕성리 등지에서 신청이 접수됐다.

주민 반발 무산에도 소각장 건립은 '필수'
입지선정위 조사 시작 2024년 상반기 완료
500억원 지원책… 주민 반대 잠재울지 '관심'


2023070501000189200008711.jpg
지난 2월22일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초부리 주민들이 용인시청 앞 광장에서 쓰레기 소각장 설치를 반대하는 집회를 열었다. 용인/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

그러나 주민 상당수가 거세게 반발했다. 이들은 혐오시설이 유독 처인구에 몰리는 현상에 대한 불만과 함께 기흥·수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처인구의 발전에도 저해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수차례 집회를 열며 반대 의사를 표출했다. 결국 주민 과반 동의 기준을 넘지 못해 공모는 두 차례나 무산됐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 5월 주민 대표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입지선정위원회를 발족했다. 위원회에서 시 전역을 대상으로 입지 기준에 맞는 후보지를 조사한 뒤 타당성 조사와 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쳐 최적의 장소를 선정할 방침이다. 조사 과정과 결과는 시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주민 의견을 수렴해 내년 상반기까지 입지 선정을 끝낸다는 계획이다.

시는 하루 최대 500t 처리가 가능한 소각장을 오는 2030년 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입지가 결정되면 폐기물시설촉진법에 따라 주변 영향 지역에 300억원을 투입해 각종 주민편익시설을 설치하고 직·간접적 영향을 받는 주민들을 위해 연간 15억원 내외의 주민지원기금도 조성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연간 20억원씩 최대 200억 원의 예산을 주민 숙원사업에 지원하는 등 총 500억원 이상 규모의 지원책을 내놓겠다는 게 시의 입장이다.

이상일 시장은 "생활폐기물의 안정적인 처리를 위해 소각시설 건립이 꼭 필요하다"며 "투명한 절차를 통해 주민 상생 방안을 찾고 해당 장소를 지역의 랜드마크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용인/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