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가 대중교통 소외지역 주민들의 교통불편 해소를 위해 도입·시행 중인 '천원 택시'가 이용 급증에 따른 관련 예산 부족으로 '올 스톱'됐다.
쿠폰제에서 회원등록제로 운영방식이 바뀌면서 이용주민이 1천800여 명으로 5배나 급증했기 때문이다.
17일 시에 따르면 천원 택시는 대중교통 소외지역 주민들이 요금 1천원을 내면 나머지 금액을 시가 택시운송사업자에게 보전하는 제도다.
현재 대중교통 소외지역인 곤지암읍 신대리, 장심리, 봉현1·2리, 부항1·2리, 이선1·2리를 비롯해 퇴촌면 무수리, 남종면 이석리, 삼성1·2·3리, 남한산성면 하번천리 등 26개 마을을 대상으로 운영 중이다. 단 주말에는 운영하지 않는다.
'주민 호평' 대상 마을 점차 늘리고
운영 방식 '쿠폰제→등록제' 변경
쿠폰제에서 회원등록제로 운영방식이 바뀌면서 이용주민이 1천800여 명으로 5배나 급증했기 때문이다.
17일 시에 따르면 천원 택시는 대중교통 소외지역 주민들이 요금 1천원을 내면 나머지 금액을 시가 택시운송사업자에게 보전하는 제도다.
현재 대중교통 소외지역인 곤지암읍 신대리, 장심리, 봉현1·2리, 부항1·2리, 이선1·2리를 비롯해 퇴촌면 무수리, 남종면 이석리, 삼성1·2·3리, 남한산성면 하번천리 등 26개 마을을 대상으로 운영 중이다. 단 주말에는 운영하지 않는다.
'주민 호평' 대상 마을 점차 늘리고
운영 방식 '쿠폰제→등록제' 변경
천원 택시는 2020년 6월부터 곤지암·퇴촌·남종 등 버스 취약지역 14개 마을을 대상으로 운영되면서 300여 명의 주민들이 쿠폰(1천원)을 구매해 이용해 왔다.
그러나 주민들로부터 인기를 끌면서 대상 마을은 점차 확대됐고 지난해 3월부터 운영방식이 쿠폰제에서 회원등록제로 변경, 현재 이용자가 1천800여 명으로 5배 이상 크게 늘었다.
이용 건수에 따라 택시운송사업자에게 요금을 보전해주는 천원 택시 관련 예산은 이 같은 이용객 증가로 지난해 상반기에 월 3천만원에서 하반기에는 월 4천만원으로 늘어났다
올해 들어서는 월 8천만원까지 비용이 증가해 올 예산 5억원이 다 소진되면서 천원 택시 운영은 지난 14일부터 중단된 상태다. 시는 예산 부족에 대비해 개인당 1일 2회 사용에서 지난 5월부터는 월 10회로 줄였지만 이용자는 급증했다.
천원 택시는 국비 매칭사업으로 국비 50%(2억원)·시비 50%(2억원) 총 4억원이 편성됐으며, 오지의 경우 택시 공차 보전비용 1억원 등 시는 한 해 총 5억원의 예산을 편성해 운영해왔다.
회원수 1800여명으로 5배나 늘어
올 재정 5억 소진… 지난 14일 중단
이와 관련 안형근 남종면이장협의회장은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남종면에서 그간 감사한 마음으로 천원 택시를 이용했다"며 "예산 부족에 따른 운영중단은 너무나 안타깝다. 조속히 운영이 재개돼 교통불편 해소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까지 천원 택시 이용 주민들이 그렇게 많지 않았지만 회원등록제 전환 후 회원 수가 폭증했다"며 "올해 예산이 이미 상반기에 소진돼 추경에서 예산이 확보될 때까지는 운영을 중단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오는 9월 2회 추경을 통해 추가 운영비(2억원)를 확보할 방침이지만 이용객이 계속 늘어나고 있어 이마저도 연말까지 계속 운영할 수 있을지는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등록 회원이 늘어나면서 천원 택시를 운영하는데 내년부터는 연 15억~17억원가량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주민들의 복지 차원에서 예산 수반이 가장 큰 과제"라고 운영상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광주/이종우기자 ljw@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