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 송정동의 도시재생 복합건축물이 착공된다.
시는 25일 송정동 도시재생 복합건축물이 행정정차 등의 준비 과정을 마치고 이달 안에 본격적인 착공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송정동 도시재생 복합건축물은 광주시 103억원, 경기주택도시공사(GH) 100억원 등 총 203억원을 투입해 옛 광주시 상하수도사업소가 있었던 송정동 120-78번지에 들어선다. 지하 2층~지상 14층 규모의 건물로 88가구의 공공임대주택과 복합커뮤니티 공간, 헬스케어센터, 상생협력상가 등 복합문화어울림플랫폼으로 조성된다. 2025년 완공 예정이다.
송정동 도시재생 복합건축물은 2009년 시청사가 송정동의 현재 위치로 이전된 후 개발사업 등으로 옛 시청사 주변 원도심 기능이 쇠퇴함에 따라 '열린장소, 함께하는 이웃, 더불어사는 행복한 송정동'을 모토로 2019년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에 '광주형 주거지재생, 송정동 열린 마을 만들기'로 신청해 선정됐다.
시 관계자는 "송정동 도시재생 복합건축물이 완공되면 시청사 이전 등으로 인해 쇠퇴한 구도심 활성화와 지역공동체 참여 확대, 지속성을 강화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시는 25일 송정동 도시재생 복합건축물이 행정정차 등의 준비 과정을 마치고 이달 안에 본격적인 착공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송정동 도시재생 복합건축물은 광주시 103억원, 경기주택도시공사(GH) 100억원 등 총 203억원을 투입해 옛 광주시 상하수도사업소가 있었던 송정동 120-78번지에 들어선다. 지하 2층~지상 14층 규모의 건물로 88가구의 공공임대주택과 복합커뮤니티 공간, 헬스케어센터, 상생협력상가 등 복합문화어울림플랫폼으로 조성된다. 2025년 완공 예정이다.
송정동 도시재생 복합건축물은 2009년 시청사가 송정동의 현재 위치로 이전된 후 개발사업 등으로 옛 시청사 주변 원도심 기능이 쇠퇴함에 따라 '열린장소, 함께하는 이웃, 더불어사는 행복한 송정동'을 모토로 2019년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에 '광주형 주거지재생, 송정동 열린 마을 만들기'로 신청해 선정됐다.
시 관계자는 "송정동 도시재생 복합건축물이 완공되면 시청사 이전 등으로 인해 쇠퇴한 구도심 활성화와 지역공동체 참여 확대, 지속성을 강화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광주/이종우기자 ljw@kyeongin.com